1. 증오
내가 보기에 인간은 무턱대고 누군가를 미워하는 게 부끄러운 줄은 아는 것 같아. 그래서 대놓고 나는 네가 미우니까 네가 하는 짓은 다 싫다고 티를 내지는 않으려 애쓰더라고. 그 정도 참는 지성은 가까스로 갖췄나 봐. 그렇다고 그 비합리적인 증오를 스스로 없앨 만큼 성찰이나 인내는 없어. 그게 우리 고양이와 차이지. 그렇다면 그 하찮은 증오를 어떻게 드러낼까 관찰해봤어. 아빠 양반, 혹시 합리적인 비판 뒤에 숨겨서 드러내지 않나? 그러니까 겨우 주먹을 드는 시늉만 해도 될 일을 핑계 삼아 몽둥이를 냅다 휘두르고 있지는 않느냐는 것이지. 인간들은 그런 것 같던데. 야옹.
2. 문제 해결
하루는 우리집이 왜 이렇게 지저분할까 생각했어. 일주일에 한 번 겨우 청소기를 들고 움직이는 아빠 양반 때문일까? 바구니가 가득 차서 넘쳐야만 재활용 쓰레기를 정리하는 이 집안 스타일 때문일까? 한 번 음식을 차리면 뒷정리는 거의 하지 않는 엄마 때문일까? 옷을 아무 곳에나 벗어던지는 누나 꼬맹이 때문일까? 그런데 놀라운 게 뭔지 알아? 아빠 양반이 청소를 다 하고 엄마가 뒷정리를 깔끔하게 하고 누나 꼬맹이 빨래가 뒹굴거리지 않았을 때 비로소 발견했지. 내 몸에서 빠지는 털 뭉치와 내가 화장실에서 묻힌 모래가 온 집안을 더럽히고 있었다는 것을. 주변이 문제 투성일수록 정작 내 잘못을 발견하기 어렵다는 것을 성찰했어. 아빠 양반은 이런 자기 성찰이 가능해? 아니라고 봐. 야옹.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