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시가 대한항공과 부산시의 항공산업 육성 양해각서 체결에 대해 '대한항공의 이중적인 행보에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진주시는 26일 '부산 항공산업 클러스터 조성계획발표에 따른 진주시 입장이라는 성명서를 내고 이같이 주장했다.
경상남도와 진주, 사천시가 2011년부터 항공산업을 경남의 핵심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하고 '항공산업 클러스터 조성 사업계획'을 수립하며 그 핵심으로 항공산업 집적화 및 클러스터 조성은 반드시 필요해 '경남항공산업 국가산업단지'지정을 추진해 오고 있는 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실"이라며 "지난 19일 부산시에서 발표한 '부산항공산업 육성발전 종합계획'은 경남의 항공산업 클러스터 조성 사업계획을 그대로 복사한 것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시는 "부산시와 대한항공이 이와 같은 사업이 추진할 경우 현재 항공산업이 밀집되어 있는 진주·사천시의 경제적 피해는 물론 국가항공산업단지 지정에 심각한 차질이 우려된다"며 "경남에 항공산업의 80%이상이 집중돼 있으며 국내 항공기 산업의 생산성과 수출을 주도해 나가고 있다"며 "특히 경남이 국가항공산업단지 입지로서 강점인 것은 대전과 전남 고흥을 잇는 항공우주산업 초광역클러스트 중심에 위치하고, 항공관련 산학연 연구지원기관인 경상대학교 항공기부품기술연구소, 경남항공우주센터, 재료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등이 몰려 있어 국가항공산업단지의 입지적인 측면에서 최적지라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시는 "부산시와 대한항공이 부산에 대규모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것은 진주.사천지역의 '항공산업 국가산업단지' 지정을 무산 시키겠다는 의도로 밖에 볼 수 없다."며 "게다가 부산시와 대한항공의 이같은 조치는 지자체간 과당 경쟁과 2중 투자를 방지하려는 지식경제부의 '항공산업 지역별.기능별 발전계획'에 정면으로 배치된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시는 "서부경남 70만 나아가 330만 경남도민의 염원을 담아 국내 항공산업의 최대 인프라를 가지고 있는 서부경남 진주·사천시 일원에 '경남항공산업 국가산업단지'조기 지정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