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만 추진위원장 "민주공원으로 만들어야"

"그동안 꿈꿔온 것처럼 앞으로 민주공원이 들어서서, 시민 휴식 공간과 교육의 장으로 활용됐으면 합니다."

김주열 열사 시신 인양지(창원시 마산합포구 마산중앙부두 일원)가 기념물로 경상남도 지정 문화재가 되면서 이 일대가 어떻게 변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경남도 문화재 지정을 위해 앞장섰던 김영만 4월 혁명 발원지 문화재추진위원장(김주열열사추모사업회 전 대표)을 지난 23일 김주열 열사 시신 인양지에서 만나 소회와 포부를 들어봤다.

4월 혁명 발원지 문화재추진위 김영만 위원장이 도 문화재로 등록된 김주열 열사 시신 인양지를 둘러보고 있다. /박일호 기자

김 위원장은 "3·15의거 이후 바로 이곳에서 김주열 열사의 시신이 떠오르면서 4월 혁명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여기를 '4월 혁명 발원지'라고 부르는 이유다"고 말했다.

그는 "처음부터 이곳 일대의 민주공원화를 주장해왔다. 중앙부두만도 면적이 10만㎡이고, 1부두를 포함하면 최대 14만㎡로 공원이 생기면 하루에 다 둘러보지 못할 규모"라며 "전국에서 역사 탐방객이나 순례객이 찾아오도록 하려면, 그 정도로 대공원이 조성돼야 한다. 자치단체장의 의지에 달렸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곳이야말로 '한국 민주주의 전당'을 유치할 최적 공간이라고 다시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광주와 서울 등이 마산보다 오래 전부터 민주주의 전당을 유치하려 했으나 터가 없어 어려움을 겪었다"며 "인양지 일대 터는 민주주의 전당이 충분히 들어설 수 있고, 4월 혁명 발원지라는 면에서 누구도 부정 못할 명분도 있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도 문화재위원들도 이곳을 중요한 공간으로 인식한다는 느낌을 받았다"며 "창원시와 경남도가 적극 나서 시설물 이전이나 터 정리, 토지 수용 등을 추진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