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회 "친일행위 묵과할 수 없어"…반대 운동 나서

국가가 인정한 독립유공자 단체인 '광복회'가 창원시의 이원수 기념사업 중단을 촉구했다.

광복회 울산·경남 연합지부(지부장 김형갑) 회원 10여 명은 31일 오후 창원시청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창원시가 이원수 기념사업 지원을 중단하고, 도시브랜드화 발언을 취소할 것"을 요구했다.

광복회 지부는 "그의 문학적 업적을 평가하자는 것이 아니다"면서 "다만, 일제의 식민지 정책에 글로써 부역하고, 특히 어린이들을 일제 침략전쟁의 총알받이로 내세운 행적을 묵과할 수 없다"고 밝혔다.

지부는 "독립운동가들이 풍찬노숙하며 일제와 싸우는 동안 민족말살 정책에 동조하고 부역한 이를 기리기 위해 혈세를 쓴다는 사실을 애국선열들이 아신다면 땅 속에서 통곡할 것"이라며 반발했다.

광복회 울산·경남 연합지부(지부장 김형갑) 회원 10여 명은 31일 오후 창원시청 프레스센터에서 창원시의 이원수 기념사업 지원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했다. /이일균 기자

광복회 지부는 이어 "창원시가 지원을 계속한다면 전국적 차원에서 반대운동이 일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형갑 지부장은 이에 대해 "이는 독립유공자와 유족 7000여 명으로 구성된 광복회 차원의 반대운동을 의미한다"면서 "친일행위자 지원은 일제강점기 아래 독립운동과 임시정부의 법통을 잇는다는 국가의 근본이념을 흔드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함께한 광복회 창원시지회 김학성 지회장은 "창원시는 광복회에 연간 운영비 보조금으로 850만 원을 지원한다"면서 "이원수 탄생 100주년 기념사업비로 시가 지원하는 2억 원은 광복회와 재향군인회 등 국가가 지정한 10개 보훈단체가 시에서 받는 연간 운영비 보조금과 맞먹는다"고 밝혔다.

광복회 울산·경남 연합지부와 창원시지회에는 각각 430명과 104명의 회원이 가입돼 있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