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살리기 토론회, 시민·전문가 뭉친 조사 제의
23일 오후 5시 창원하천살리기시민연대는 창원YMCA에서 '창원 생태 하천, 어떻게 흐르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서 이같이 요구했다.
이 자리에서 마산·창원·진해환경운동연합 임희자 사무국장은 "물길을 막는 공사를 하는 바람에 최근 폭우로 창원천·남천·가음정천 생태하천 복원공사 피해가 컸다. 이번 폭우로 창원 생태하천 공사 피해금액이 30억 원에 이른다. 이제 행정이 주관하는 성과 위주 방식에서 탈피해서 천천히 사업 전반을 되돌아봐야 한다"고 운을 뗐다.
임 국장은 "폭우 이후에 형성된 물길과 단구를 그대로 보전하고, 공사가 시작되지 않은 하천 하류구간에는 공사 계획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 주민과 전문가를 포함한 민관 합동 조사기구를 만들어 대책을 마련하고, 이를 설계에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하천 인공구조물을 제거해 1년 이상 모니터링을 하면서, 주민이 어떻게 하천으로 접근하는지를 살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식·생물 역시 하천에 어떻게 자연스럽게 자리를 잡는지도 지켜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회 노동환경위원회가 생태하천 정책을 국정감사 의제로 채택하게 하고 추경을 미집행하여 달라고 요구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이와 함께 생물이 살 수 있는 생태하천을 위해서 하천 유량을 일정 정도 유지하려는 방안도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박재현 인제대 교수는 "빗물을 가두는 우수 저류조나 투수성 포장재를 통해서 물을 모아야 한다. 또, 남천·창원천 일대에 있는 저수지를 통해서 물을 확보하고, 전국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지하수 사용량을 제한하는 게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전점석 창원YMCA 사무총장은 "최근 많은 지자체가 빗물 조례를 제정하고 있다. 의왕, 안성, 파주, 서울 등을 비롯해 20여 개 시·군에서 나섰다. 심지어 수원은 '레인 시티'라는 명칭까지 만들었다. 창원도 이처럼 빗물 이용에 관한 조례를 만드는 것이 하천 유량 유지를 위한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우귀화 기자
wookiza@idomin.com
자치행정1부에서 창원시, 창원시의회 담당하고 있습니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