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가진 생태하천은 가음정천, 창원천, 남천이다. 총 700억 원 넘게 예산을 들여 조성 중이었다. 하지만, 공정률 85%라던 가음정천은 유실됐고, 2011년 완공을 바라던 창원천 남천도 엉망이 됐다. 원점이 아니라 복구비까지 들게 생겼다. 환경단체와 전문가는 애초의 목적과 달리 만들어져서 이런 일이 벌어졌다고 했다. 다양한 생명이 서식하는 하천으로 조성해야 했는데, 과거에 해왔듯 친수공간식으로 했다는 게다. 보기좋게, 이것저것 시설 만들다보니 생태하천 본래의 목적이 상실되면서, 피해가 커졌다는 게다. 천재 아닌 인재라는 의미다.
인공시설물이 들어선 경로도 의아하다. 환경단체 등에 따르면 유속조절을 위한 낙차공(수로의 도중에 경사면을 안정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만들어진 구조물)과 나무계단 뱀 자형 하천모형 인공소 등이 피해를 키운 주범이라 한다. 낙차공이 충분한 거리확보가 되지 않아 물을 교란해 물의 압력이 커졌고, 이 물이 주변 인공시설을 덮쳤다는 것이다. 뱀모양 하천은 급류를 감당하지 못했고, 너울과 소가 너무 많아 물의 흐름을 불안정하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왜 그렇게 조성됐을까. 생태하천 조성 전 창원시가 환경단체 등과 협의를 하기는 했다고 했다. 하지만, 환경단체의 지적은 반영되지 않았다고 한다. 환경단체와의 협의는 구색맞추기용에 불과했나.
물론 비가 많이 오기는 왔다. 그러나 모든 걸 비가 많이 온 탓으로 돌려선 곤란하다. 비가 많이 오고 적게 올 경우까지 고려해서 조성한 것이 아니던가. 아니할 말로 언제든 비만 많이 오면 그 난리를 반복할 수도 있다는 건가. 책임있는 자세가 아쉽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경남도민일보
webmaster@idomin.com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