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준혁신도시 대안 추진
마창진 통합 후 지연되다 무산
2018년 창원시 자체 개발 선회
현재 토지 보상 협의 진행 중

정치적 이해관계에서 비정상적으로 잉태한, 현실성 없는 정책 상흔은 깊었다. 장기간 계륵 같은 존재로 남아 주민을 애태우고 갈등을 키웠다. 책임을 떠맡은 후임자는 계획을 대폭 수정해 사업을 재추진하는 상황이다. 또 다른 갈등은 생겨났다.

2007년 거론 이후 14년이 흐른 창원시 마산회원구 복합행정타운 조성. 과거와 오늘을 짚어본다.

◇실패한 급조물 = 복합행정타운은 2007년 김태호 당시 경남도지사가 '준혁신도시' 대안으로 추진한 사업이다. 회성동 일대 69만 2000㎡에 2892억 원을 들여 마산세관·마산출입국관리사무소(현 창원출입국외국인사무소) 등 11개 행정기관을 입주시키고 나머지 터에 아파트와 주택단지를 조성하는 계획이었다. 2007년 7월에는 경남도·경남개발공사·옛 마산시가 양해각서를 체결해 기대감은 커갔다.

그러다 2010년 통합 창원시 출범을 기점으로 급격하게 틀어졌다. 복합행정타운 입주 예상 기관이었던 마산세관·마산출입국관리사무소 등은 마산합포구 신포동에 조성한 정부경남지방합동청사에 입주했다. 부동산 경기 위축으로 재정 확보 어려움이 예상되면서 경남개발공사는 사업 추진을 미적거렸다. 2012년 8월 경남개발공사는 복합행정타운 사업성 검토 용역을 지방공기업평가원에 의뢰했다. 타당성 용역은 사업 추진 과정에서 거치는 일반적인 행정 절차이나 당시 용역은 '퇴로 확보 차원'이라는 지적이 많았다.

홍준표 당시 도지사 후보는 2012·2014년 선거에서 '도청 마산 이전' 공약을 내걸었다. 도청을 복합행정타운으로 이전하겠다고 했으나 당선 후에 입을 닦았다. 그사이 2013년 2월 기존 3년에 2년을 추가 연장한 개발행위허가 제한 기간은 만료됐다.

2014년 3월 지방공기업평가원이 발표한 사업성 검토 용역 결과는 '복합행정타운 무산' 쐐기를 박았다. 평가원은 사업지에 대상 기관이 모두 입주했을 때, 입주 불참 기관 터를 주거지로 용도를 바꿀 때 등 두 가지 방안 모두 성공 가능성이 낮다고 봤다. 경남개발공사는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그해 9월 창원시에 사업 취소 공문을 보냈고, 같은 달 당시 홍 지사는 복합행정타운 사업 무산을 재확인했다. 정치권 급조물은 지역 갈등, 주민 재산권 피해, 행정기관·정치권 불신만 낳고 버려졌다.

◇창원시 자체 추진 = 창원시가 자체 개발 방안을 밝히면서 사업 추진 기지개를 켰다.

2016년 창원시는 공공기관 유치 작업에 들어갔다. 2018년 12월에 토지이용계획 변경안이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에서 조건부 의결되면서 사업 재추진 탄력을 얻었다. 시는 창원지방법원 마산지원, 창원지방검찰청 마산지청, 한국전력공사 마산지사·한전KDN㈜ 경남지사 등 13개 기관의 입주 의향도 확인했다.

이후 2019년 5월 민간사업자 공모, 11월 중앙도시계획위원회 토지이용계획(변경) 최종 승인, 12월 ㈜태영건설 등이 참여한 컨소시엄과 업무협약, 2020년 1월 특수목적법인(PFV) 설립, 6월 도시개발구역 지정 절차 착수, 7월 중앙재정투자심사 통과, 12월 도시개발구역 지정·개발계획 지형 도면 고시 등의 절차를 거쳤다.

올해 들어 보상계획 공고·감정평가 착수·토지와 물건 소유자 보상협의가 진행되고 있다. 시는 이달 도시개발사업 실시계획 인가를 신청하고 연말에 실시계획 인가를 고시할 예정이다.

복합행정타운 개발 계획은 70만 6240㎡에 민간자본 5316억 원을 들여 2026년까지 공공기관, 공동주택, 업무시설, 문화시설, 사회복지시설 등을 입주시킨다는 게 얼개다. 2023년 4월 공사를 시작해 2026년 3월 터 조성을 완료할 예정이다.

전체면적 70만 6240㎡ 가운데 29.1%(20만 5110㎡)는 분양 아파트가 차지한다. 단독주택(7728㎡)·준주거(1만 4442㎡)·임대주택(6만 3780㎡)까지 더하면 주거용지는 41.2%(29만 1060㎡)다. 공동주택 터에 들어설 분양 아파트는 3820가구, 공공임대는 2380가구다.

검찰·법원·구청 등 공공청사 등은 내서읍과 가까운 쪽에 자리 잡는다. 유치원·초등학교·공공청사·문화시설·사회복지시설 등 공공문화체육시설은 13.7%(9만 6500㎡)다. 나머지는 도로 등 교통시설(15.2%), 공원·녹지(28.2%) 등이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