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창원시·부진경자청 등 관계기관 협의…단일안 만들어 다음주 중 정부 건의키로
진해 명동 쪽 준설토 투기장 매립지 확대 등을 포함한 제3차 항만기본계획에 대해 경남도와 창원시,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이 단일안을 만들어 다음 주 중 정부에 건의키로 했다.
경남도 항만물류과와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경남개발공사와 창원시 관계자 등은 12일 오전 도에 모여 항만기본계획 대응 협의를 했다.
주된 내용은 진해 명동 쪽 준설토 투기장 매립지 확대 문제였고, 이에 따라 변경되는 부산항신항 항계선 설정과 현 부산 감천항에서 이전하는 것으로 돼 있는 목재부두 문제도 함께 다뤄졌다. 도와 창원시가 함께 추진하는 웅동·명동 해양관광단지에 영향을 미치는 점도 포함됐다.
협의 결과는 이번 주 내에 기관별 요구안을 모아 단일안을 만든다는 것. 이를 다음 주 중에 국토해양부에 전달하기로 했다.
회의를 주재한 경남도 강석규 항만물류과장은 "도내 관계기관이 신속하게 공동대응을 하기로 한 것"이라며 "국토해양부가 도에 협의 요청을 하기 전에 먼저 건의를 하겠다"고 밝혔다. 건의 방법은 직접 방문을 포함해 검토키로 했다.
이날 협의 과정에는 준설토 투기장 확대와 항계선 변경 등 문제점을 낳게 된 배경도 언급된 것으로 전해졌다. 국토해양부가 제3차 항만기본계획 중에서 부산항신항 부분을 왜 수정하려고 하는지가 뼈대였다.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부산항신항 물동량이 2010년 현재 1400만TEU 수준에서 3차 항만기본계획의 완료 시점인 2020년경에는 2100만TEU 정도로 예상되면서 현재 15m인 항로 준설 필요성이 반영된 것"이라고 전했다. "현재 만조 때만 입항 가능한 1만TEU급 컨테이너선이 연간 200척 이상 자유롭게 출입하는 데 필요한 조치"라는 것이다.
물동량 증가에 따른 항로의 준설 필요성, 준설토 투기장의 확대와 전체 항계선의 변화가 그 대척점이 되는 어업권 피해와 해충 발생 등 부정적 영향과 맞물려 있다는 점이 3차 항만기본계획 확정 과정의 쟁점이 돼 있다는 것이다.
한편, 창원시의회 균형발전위원회(위원장 박해영) 소속 의원들도 국토해양부의 제3차 항만기본계획 수정을 촉구했다. 이들은 12일 오전 열린 창원시청 기자회견에서 "이 계획으로 변경된 항계선을 원위치하고, 과다한 투기장 조성 규모를 줄이라"고 촉구했다. "현 부산 감천항에서 신항 내로 이전할 계획인 목재부두 또한 부두별 기능 재배치 때 검토하고, 웅동·명동 해양관광단지 개발 과정에서 해양 조망권이 확보되도록 할 것"도 함께 요구했다. 박해영 위원장은 "1월 중에 도 관계자들과 함께 국토해양부를 방문해 뜻을 전달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이날 열린 창원시의회 본회의에서 균형발전위 소속 장병운(진해구 웅천, 웅동1·2동) 의원은 시 차원의 항만 문제 대응을 위해 '해양항만국' 설치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부산시에는 항만 업무 전담국이 있지만 경남도는 과 단위, 창원시는 사업소에서 관련 업무를 전담한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