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관 지사 "도 권한 점차 시군에 넘겨야" 지방분권 의지 밝혀
김두관 도지사와 박완수 창원시장이 만난 자리는 긴장보다는 서로 협력을 약속하는 분위기였다.
박완수 시장은 30일 오후 김두관 도지사 방문에 대해 "공직자와 함께 진심으로 환영한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통합 창원시 발족으로 시민 기대가 큰데, 가장 중요한 것은 도의 행정·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각별한 관심을 건의한다"고 말했다.
박 시장의 환영사에 이어 김윤수 부시장은 업무보고를 통해 현안과 건의사항을 보고했다.
주요내용은 △마산만 워터프런트 조성(남해안 선벨트 사업과 연계해 국비 제외한 사업비 50% 도비 지원)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LH가 포기한 사업, 계획대로 추진) △제2 안민터널 개설(국가 시행사업으로 지정되게 지원) △제2 봉암교 개설(도로법 시행령 개정안에 대도시권 교통혼잡 도로개선 대상사업 반영되도록 지원) 등이다.
더불어 △신항 북 컨테이너 배후지역과 용원 간 연결도로 개설(사업비 100억 원 중 도비 50억 원 반영, 광역교통 차원에서 비수익 노선 재정지원금 도비 지원) △로봇랜드 조성(내년 도비 350억 원 편성, 접근성 위한 국도 5호선 거제~마산 구간 중 현동~구산 우선 개통 지원) △창원 장애인문화체육센터 건립(도비 30억 원 지원)에 대한 지원을 건의했다.
김두관 지사는 통합 창원시의 성장이 경남도 발전의 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도 입장에서 통합으로 창원시의 새로운 도약 전기를 마련한 것은 고무적이다. 다만, 17개 시·군은 통합시가 블랙홀이 돼서 소외될 것이라는 걱정도 있긴 하지만 창원시 도시 경쟁력이 전파되면 동반 성장 중심이 되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특히, 중앙정부의 권한을 지방자치단체에, 도의 권한을 시·군에 이양 등 지방분권 의지를 밝혔다.
김 지사는 "도는 시·군에 권한을 넘겨 주려 하는데 광역시급 창원시는 말할 필요도 없다"며 "OECD 경제규모 20위 나라 중 중앙 집권도가 가장 높은 나라가 우리나라인데, 전 세계 흐름으로 볼 때 중앙정부 권한을 지방으로 이양해야 하고 고용노동청 같은 특별행정기관도 시·도에 넘어와야 한다"고 말했다.
또 "장기적으로 도의 권한 절반을 시·군에 넘겨야 하고, 관계도 수직이 아니라 수평·협력 관계가 돼야 한다"며 "현안사업은 긴밀하게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창원시 현안사업에 대해서는 "경남의 인구 3분의 1뿐만 아니라 절반을 가진 통합 창원시가 잘되는 게 도가 잘되는 것이라는 인식하에 협력·상생으로 동반성장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적극적인 협력과 지원을 약속했다.
신항 북 컨테이너 배후지역 연결도로 사업비 도비 50억 원은 내년 예산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또 장애인문화체육센터 건립비 지원 문제는 도가 계획하는 장애인 평생학습원과 연계해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김 지사는 30일 오후 창원시를 마지막으로 도내 18개 시·군 순회 방문을 마쳤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