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정어리 가공해 상품으로 판매
중간어 이상은 통조림 가공 활용

경남도는 지난해 발생한 마산만 정어리 집단폐사 사태를 방지하고자 정어리를 상품화하기로 했다.

도는 지난 25일 경남연구원에서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창원시와 사전대책 마련을 위한 협의회를 열고 정어리 대량 폐사에 따른 도심 주거·관광시설 악취, 수질오염, 폐사체 수거·처리 등 사회·경제·환경 피해 방지에 한목소리를 냈다.

▲지난 10월 2일 창원시 마산합포구 해양신도시 근처 바닷가에 떠 있는 죽은 정어리 떼. /경남도민일보DB
▲지난해 10월 2일 창원시 마산합포구 해양신도시 근처 바닷가에 떠 있는 죽은 정어리 떼. /경남도민일보DB

우선 가치가 높은 어린정어리는 포획해 자숙 등 1차 가공을 거쳐 상품으로 판매해 어업인 소득은 높이고 정어리 대량 폐사를 줄이기로 했다. 중간어 이상은 통조림 등으로 가공하거나 냉동해 활용한다. 폐사가 발생하면 도·창원시·해수부가 협업해 비료화, 사료화, 소각 등 신속하게 처리해 주민 불편과 환경오염을 최소화한다.

앞서 창원시도 △정어리 폐사 발생 사전 모니터링 등 시행 △지역 내 정치망어업 6곳 포획 시행(발생시점~연말) △해양수산부 어업규제 완화 시범사업 시행 △수산과학원 빈산소수괴 관측시스템 확대 구축 △집단폐사 대비 어선·장비·인력 동원을 위한 연락체계 구축(47개 어촌계) 등 대책을 내놨다.

지난해 9~10월 마산만에 유입된 정어리가 대량 폐사하면서 악취와 수질 오염이 발생해 민원이 끊이지 않았다. 올해도 지난해처럼 남해안 연안에 다량의 정어리 무리가 출현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상황이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이와 관련해 지난 11일 통영에서 연안으로 회유하는 정어리 자원동향을 감시한 결과, 지난달부터 정어리가 어획물의 91%를 차지하는 등 높은 점유율을 보이며 연안 어장으로 빠르게 유입되는 걸 확인했다고 밝혔다. 수산과학원 분석을 보면 올해 정어리 무리 출현 시기는 지난해보다 빠르고 양도 많다. 반드시 폐사로 이어질 것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으나 대비책은 필요하다.

김제홍 도 해양수산국장은 “작년에 정어리의 대량 폐사가 발생해 창원시 인근 주민들이 많은 불편을 겪었다”며 “올해는 피해 재발 방지를 하고 단계별로 대응방안을 마련해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민왕기 기자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