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어난 지 1개월도 안 돼 입양
초교 5학년 때 사실 알고 충격
양부모 고마움에 찾지 않기로

지난해 난임 문제로 부부상담
상처 깨닫고 친부 찾기로 결심
직장 그만두고 마산서 수소문
"네 잘못 아니라는 말 듣고 싶어"

‘아버지를 찾습니다. 현재 나이 70대 추정. 1979년 마산합포구 자산동(현재 한우아파트 자리) 거주. 이름 박OO. 1979년도에 아내 사망으로 막내딸(79년생)을 입양 보냄. 위로는 1~2명의 딸이 더 있음.’

이정화(44) 씨가 약속 시각에 늦어 미안하다는 말과 함께 알록달록한 명함을 건넸다. 노란색 바탕 위에 ‘응급의학과 전문의 이정화’라는 이름과 전화번호 두 개, 이메일이 적혀 있다. 붉은색으로 강조된 전화번호는 본인 연락처고 다른 하나는 남편 연락처다. 짙은 파란색 바탕인 뒷면에는 글자가 빼곡하게 새겨져 있다. 태어나자마자 헤어진 친아버지를 찾는다는 글이다.

이 씨는 생후 1개월도 채 되기 전 양부모에게 입양됐다. 공식적인 입양 절차를 밟지 않은 까닭에 친부모가 누구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44년 전 이 씨를 맡긴 여성의 말에 따르면 어머니는 이 씨가 태어나자마자 연탄가스 중독으로 사망했고, 이 씨 위로는 언니가 2명 있었다고 한다.

이 씨가 입양 사실을 처음 알게 된 것은 초등학교 5학년 때다. 양아버지는 술만 먹으면 “네가 크면 내가 할 말이 있다”고 습관처럼 말했다. 하루는 아버지에게 할 말이 무엇인지 물었고 자신이 입양아라는 사실을 듣게 됐다.

이정화 씨가 22일 오전 경남도민일보와 인터뷰 하고 있다. /김구연 기자
친아버지를 찾고 있는 이정화 씨가 22일 오전 경남도민일보와 인터뷰 하고 있다. /김구연 기자

“처음에는 엄마만 다른 줄 알았는데, 양아버지가 ‘너의 친아버지 성은 박씨’라고 하더라. 옆에 있던 양어머니는 ‘엄마가 너 낳다가 죽었다’고 했다. 어린 나이에 부모가 다르다는 얘기를 들으니 모든 사고가 정지돼 버렸다. 더 물어볼 수도, 그러고 싶지도 않았다. 그날 이후로 친아버지를 평생 찾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아픈 과거를 덤덤하게 풀어냈다. 그가 평생 친아버지를 찾지 않겠다고 생각한 데에는 자신을 거둬 준 양부모에 대한 고마움도 있었다.

“양부모님은 제가 부족함 없이 자랄 수 있도록 지원해주신 분들이다. 친부모를 찾아 나선다는 것 자체가 이분들에 대한 배신처럼 느껴졌다.”

이 씨의 굳은 다짐이 깨진 것은 30년도 더 지난 뒤인 지난해 여름이다. 결혼 11년 차인 그는 자녀가 없다. 시험관 시술을 받는 등 노력했지만, 모두 소용없었다. 이 시기 그는 아이 문제로 배우자와 잦은 다툼을 벌였다. 끝없는 싸움에 지친 이 씨 부부는 고민 끝에 부부 상담을 신청했다. 이 씨는 상담을 받으며 자신을 옥죄던 상처와 처음으로 마주했다. 자신 때문에 어머니가 죽었다는 죄책감과 나의 뿌리가 불분명하다는 불안감이 평생 그를 괴롭힌 셈이다.

“상담 선생님이 말하기를 입양은 당사자에게 엄청난 트라우마이고, 삶을 좌지우지할 만큼 큰 문제라고 하더라. 그제야 내 문제가 무엇인지 깨달았다. 사실 나는 누군가에게 버림받을까 봐 늘 두려웠던 것이다.”

거침없이 말을 이어가던 이 씨의 목소리가 미세하게 떨렸다.

“제가 그토록 아이를 가지고 싶었던 것은 사실 내 아이가 아버지라는 존재와 함께 있는 모습을 보고 싶었던 것 같다. 나는 버림받았지만 내 자식만큼은 책임감 있게 지켜주고 싶은 마음도 있었다.”

상담을 받으며 자신의 내면 깊숙한 아픔을 비로소 들여다보게 된 이 씨는 친아버지에 대한 그리움과 궁금함을 애써 외면하고 있었다는 것을 인정했다.

하지만 그가 뒤늦게 친아버지를 찾아 나섰을 때는 이미 많은 정보가 사라진 뒤였다. 양어머니는 11년 전, 양아버지는 8년 전에 돌아가신 까닭에 친부의 존재를 아는 이가 거의 없었다. 심지어 그 역시도 마산을 떠난 지 오래다.

1998년 마산제일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부산대 기계공학과에 진학한 이 씨는 이후로도 마산을 벗어나 살았다. 2009년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해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된 그는 수원에서 직장을 얻었다.

이 씨는 아버지를 찾고자 직장까지 그만뒀다. 마산과 한참 떨어진 수원에서 아버지 존재를 찾기에는 역부족이었기 때문이다. 지난 9일 수원을 떠나 부산에 온 이 씨는 당분간 지인 집에서 지낼 예정이다.

“친아버지를 찾는 과정에서 나를 양부모님에게 맡겼던 할머니를 만났다. 44년 전에는 아줌마였을 할머니는 자기도 부탁을 받고 나를 전달한 거라며 친부 존재를 전혀 모른다고 하더라.”

현재 이 씨는 양부모 친자로 등록돼 있어 그가 입양됐다는 자료는 어디에도 남아 있지 않다. 법적으로도, 행정을 통해서도 친아버지를 찾을 길이 막막한 상황이다.

친아버지를 찾고 있는 이정화 씨가 만든 펼침막이 창원시 마산합포구 자산동 도로에 설치돼 있다. /김구연 기자
친아버지를 찾고 있는 이정화 씨가 만든 펼침막이 창원시 마산합포구 자산동 도로에 설치돼 있다. /김구연 기자

“지금은 친아버지가 살았던 곳으로 추정되는 자산동 근처를 무작정 돌아다니고 있다. 동네마다 현수막도 걸고, 어르신들이 많이 찾는 무료급식소에 떡과 명함을 돌리기도 했다.”

이 씨는 아버지를 찾게 된다면 가장 먼저 자신을 입양 보낸 이유가 무엇인지 묻고 싶다고 했다.

“그저 미안하다는 말과 네 잘못 아니라는 말이 듣고 싶다. 입양아들은 흔히 자기가 부족해서 버려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다 보니 평생 죄책감을 안고 살아갈 수밖에 없다. 외적으로는 자기 쓸모를 끊임없이 증명하는 삶을 산다. 그러니 인생이 늘 고달프다.”

이 씨 역시 남들이 보기에는 꽤 많은 것을 성취한 삶이다. 전문의 자격증까지 취득했고 배우자도 번듯한 직장에 다니고 있다. 하지만 그는 여전히 삶이 공허하다고 말한다.

“흔히 입양됐다고 하면 복 받았다고 한다. 버려질 뻔했는데 번듯한 가정의 보호를 받았다는 이유다. 근데 그 내면에는 늘 죄책감과 불안감이 뒤섞여 있다. 공부 잘하는 딸이 되길 원했던 양아버지의 바람대로 늘 열심히 공부해야 했다. 평생을 그렇게 살다 보니 인생 자체가 비어 있는 느낌이다. 이제는 아버지의 행방을 찾고 나의 정체성을 정의하고 싶다. 누구의 딸로 태어났다는 뿌리가 없으니 존재 자체가 흔들리는 느낌이다. 능력과 시간이 허락하는 한 온 힘을 다해 아버지를 찾아보려고 한다.”

※이정화 씨 친아버지 또는 가족을 아시거나 이들 행방을 아시는 분들은 010-7383-1607로 연락해주시면 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