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지원·생활안정 지원 등 목표
신산업 일자리 창출 포함 신규 16개
전 부서 협력...시 "청년 지원 강화"

창원시는 청년 인구 유출을 막고 청년의 미래 도약을 지원하고자 올해 5개 분야에서 52개 사업을 벌인다.

지난해 11월 기준 창원시 청년(만 19~34세) 인구는 18만 9309명(남 10만 4855명·여 8만 4454명)으로, 시 전체 인구의 18.5%였다. 창원 청년인구 비율은 도내 평균(16.6%)보다는 높지만 특례시 중에서는 가장 낮다. 수원·고양시는 20%를 넘고, 용인시는 19.7%다.

창원 청년인구는 2011년 이후 10년 동안 5만 9132명이나 줄었다. 지난 5년(2016~2020년)간 창원을 떠난 청년들은 동남권·수도권으로 주로 향했다. 특히 수도권 전출 비중은 늘어나는 추세다. 2016년 27.4%였던 비중은 2020년 29.1%로 증가했다. 청년 인구 유출이 가속화하면서 창원 전체 인구는 2011년 109만 명에서 2021년 103만 명으로 줄었다.

시는 이 같은 현실을 극복하고자 올해 청년 정책 초점을 연대기반 조성·참여 인프라 확대, 일자리 지원·취업 역량 강화, 청년 주거 지원 확대, 생활안정 지원, 청춘문화 육성에 맞췄다. 담당부서인 청년정책담당관을 포함해 25개 부서가 사업에 참여하고, 청년정책 시행에 들이는 예산은 국·도비를 합쳐 330억 원 규모다.

분야별 사업 중 36개는 지속 사업이다. 청년비전센터 운영, 청년기술창업수당 지원, 누비자 이용요금 지원, 창원에서 한달 살아보기 등이다. 나머지 16개는 신규 사업이다. 세부 내용을 보면 조직·참여 분야에서 각종 위원회 청년참여 할당제를 추진한다. 2026년까지 전체 위원회 중 청년참여위원회 40% 이상 확대가 목표다. 예산 1억 5000만 원을 들여 청년정보플랫폼 구축도 추진한다. 일자리 등 정보를 통합 제공하는 플랫폼은 내년 1월 선보인다.

창원시청
창원시청

일자리 분야에서는 신산업 연계 청년 일자리 창출 사업을 새로 시행한다. 2022년 창원청년 통계에서 청년 78.8%는 ‘창원에 취업해 지속적인 근무를 하고 싶다’고 말했다. 제조업 중심 일자리에 변화를 주고자 시는 디지털·항공·바이오·반도체 분야 기업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상반기에 결과가 나오면 곧바로 기업 맞춤형 현장실습을 추진한다. 시는 앞으로 4년 동안 신산업 분야 일자리 500개 창출을 할 계획이다.

생활 분야에서는 고립 청년 마음돌봄, 미취업 청년 교통비 지원 등 9개 사업을 새로 벌인다. 지원 사각지대에 있는 고립청년을 발굴·지원하고자 창원복지재단과 고립청년 실태조사에 착수한다. 상반기에는 조례 제정도 추진한다. 청년 영업주가 운영하는 50㎡ 이하 음식점을 대상으로는 방문·맞춤형 위생서비스를 제공한다. 청년농부가 시기별 주요 정책·작물 재배 방법을 알 수 있도록 맞춤형 달력도 제작·배포한다.

주거 분야 새 사업은 1인 가구 안심주택 공급, 20년 장기 무상사용 주택 제공,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활성화 지원이다. 시는 1인 가구 안심주택 공급 사업을 위해 3월에 용역을 시작하고 9월 공급 추진계획을 수립한다. 무상사용 주택 제공 사업은 개나리 3차·천수림 아파트에 2026년까지 200가구를 공급하는 방향이다. 장기공공임대주택건립은 타당성 용역 등을 거쳐 장기 과제로 진행된다.

최영숙 시 청년정책담당관은 “청년 정주 여건과 자립 기반 등이 강화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개발해 청년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창언 기자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