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를 중심으로 한 조선업이 긴 불황 끝에 활황기를 맞이했다. 하지만 물 들어왔을 때 노 저어야 하지만 사공이 적어서 배가 제대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원인 분석과 함께 대책이 나와야 하지만 배를 부리는 조선사들은 여전히 구태를 벗지 못하고 있다. 이래서는 모처럼의 기회도 날릴 수 있다. 특히 대우조선해양은 그들이 국민의 혈세로 연명한 사실을 망각하고 있는 듯하다. 혼자 살려고 해서는 그 끝은 분명하다. 한 번 마음이 떠나면 다시 돌리기가 어렵다. 모두가 같이 사는 방법으로 바꿔야 한다.

경남 조선업 종사자 수가 거제를 중심으로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다. 불황과 코로나 등으로 이직을 한 것이 원인이라고들 하는데 더 근본적인 원인 분석과 해법이 시급하다. 하청협력업체 노동자 임금 인상 등이 절실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부산지방고용노동청이 지난 9월 발표한 동남권 조선업 인력수급 대책을 보면, 전국 조선업 피보험자는 9만 9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000명 줄었다. 이 중 경남 조선업 노동자 감소폭이 6.7%로 전국에서 가장 크다. 올해 5월 기준 전년 동월보다 부산·울산·경남 조선업 피보험자는 경남에서 2974명 줄었고 부산에서 151명 줄었다. 울산은 오히려 954명 늘었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유독 경남에서 그중에서도 거제시의 인력 감소폭이 현저하다는 점이다. 창원과 통영, 고성은 오히려 늘었다. 조선산업 중심지로 인력이 몰려야 정상일 텐데 거꾸로 가는 것은 거제의 조선 산업 생태계가 그만큼 비정상이라는 의미일 것이다. 어려웠던 시절 생존을 위한 저가수주 여파와 누적된 적자 등으로 저임금이 될 수밖에 없었다. 위험한 일에 임금까지 낮으니 사람이 모일 턱이 없는 것은 상식이다. 그래도 해법을 찾아야 한다. 먼저 곪은 곳을 도려내는 용단이 있어야 한다. 바로 원청·하청 간 갈등과 차별이다. 최소한 같아지려는 노력만이라도 해보라. 해법도 있다. 광양포스코 원청은 하청협력업체 납품단가에 인건비 항목을 인상하는 방식으로 하청노동자 임금 인상을 유도했다. 그래도 차별이 남아 있지만 이 정도 노력이라도 해야 한 가닥 희망이라도 있는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