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9월까지 재해 노동자 7031명으로 집계
제조업•건설업 노동자 가장 많이 재해 겪었다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 재해도 두드러져

경남에서는 올 1월부터 9월까지 7031명이 일터에서 죽거나 다쳤다. 제조업과 건설업 노동자 그리고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산업재해가 두드러졌다. 

민주노총 경남본부는 5일 오전 경남도청 프레스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김용균 4주기 추모주간을 선포하고, 도내 산업재해 현황을 발표했다. 

이들은 “김용균법이라 불리는 산업안전보건법은 노동자 참여와 작업 중지권을 보장하지 않고 있다”며 “중대재해처벌법이 제정됐지만 노동자 죽음을 막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5일 오전 민주노총 경남본부 등이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산재 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김다솜 기자
5일 오전 민주노총 경남본부 등이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산재 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김다솜 기자

민주노총 경남본부, 중대재해 없는 세상 만들기 경남운동본부 등이 안전보건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1월부터 9월까지 도내 산재 현황을 살펴보면 7031명이 산업재해를 겪었다. 

고용노동부 창원지청(2163명), 양산지청(2268명), 진주지청(1129명), 통영지청(1471명)순으로 재해자가 발생했다. 사고성 사망자 수는 창원지청이 18명으로 가장 많으며, 양산지청(14명), 진주지청(14명), 통영지청(5명) 순이었다.

주요 사고 유형별로 재해자 수를 나눠보면 업무상 질병이 1288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넘어짐 사고(1234명), 끼임 사고(852명), 떨어짐 사고(797명), 맞음 사고(524명), 절단·베임·찔림 사고(504명) 순이었다. 

도내 산업재해는 제조업과 건설업종에서 많이 발생했고, 특히 50인 미만 사업장일수록 사고가 많았다.

제조업 재해자 수가 311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건설업(1325명)이었다. 제조업과 건설업에서 일어난 산재가 전체 63.1%를 차지했다.

또, 사고성 사망재해 60.8%가 건설업(18명), 제조업(13명)으로 나타났다. 재해자 72.1%(5070명)가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일하고 있었다. 50인 미만 사업장(49명)에서 사고성 사망 재해도 가장 많이 발생했다. 전체 사망 재해의 96.1%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김병훈 민주노총 경남본부 노동안전보건국장은 “서부경남 지역은 건설과 토목이, 창원 지역은 기계 업종이 많기 때문에 제조업과 건설업 분야에서 산재가 두드러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국장은 “50인 미만 사업장처럼 작은 규모일수록 위험을 외주화하는 경향이 있지만,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관리·감독할 체계가 전무하다”며 “50인 미만 사업장은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명예산업안전감독관도 없고 노동조합 조직률이 떨어지기 때문에 노동자가 참여할 수도 없다”고 지적했다. 

민주노총은 발전소 노동자 건강관리카드 발급과 도로 요금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산재 인정, 급식 환경 개선 시범 사업 시행 등은 긍정적인 성과로 꼽았다. 

한편, 민주노총 경남본부 등은 2018년 12월 태안화력발전소에서 끼임 사고로 숨진 노동자 김용균 씨 4주기를 맞아 추모 주간(12월 5~9일)을 선포했다. 이 기간 동안 비정규직 노동자 선전전, 4개 업종(건설기계·조선하청식당·도로 요금소·화학물질 사용 사업장) 실태조사 결과 발표 등을 이어갈 예정이다.

/김다솜 기자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