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려지지 않은 경남 가야유적을 찾아서 (26) 양산 다방동패총

비지정문화재로 남아있는 다방동패총
1921~1922년 일제강점기에 최초 확인

양산시청과 차로 5분 거리 숲 속 유산
다방마을 둘러싼 야산에 유적 분포

양산 중심 성장 세력 방어적 성격 취락
지역 가야사 밝혀줄 단서 산속에 오롯이

양산 다방동패총 원경. /양산시

지난 1일 오전 10시 30분께 김미영 경남연구원 역사문화센터 조사연구위원, 백진재 양산시 학예연구사와 함께 우산을 쓰고 양산 다방동에 있는 다방동패총으로 이어지는 산길을 탔다. 세 사람이 한 줄로 산을 오르던 이날은 태풍 여파로 한 주 내내 비가 내려 주변이 축축히 젖어 있었다. 잡초가 무성하게 자라 산행이 쉽지 않았다. 길이 없어 숲길을 헤집고 올라갔다.

곳곳이 밭이었다. 패총으로 가는 길목마다 일대 주민들이 일궈놓은 텃밭이 가득했다. 땅을 갈아놓은 다음 밭 경계선에 울타리와 철망을 쳐 길을 막아놓은 이도 있었고, 주인 없는 땅에서 농사를 짓던 주민도 있었다. 밭과 그 주변 길목에서 항아리 같은 생활 토기 조각들이 쉽게 눈에 띄었다. 땅에 박혀있거나 위로 드러나 있기도 했다. 조개껍데기도 보였다.

지난 1일 오전에 찾은 다방동패총. 수풀이 우거져 있다. /최석환 기자
다방동패총으로 올라가는 길목에 일궈진 밭. 마을 주민들은 산 곳곳에서 농사를 짓고 있다. /최석환 기자

2020년 12월부터 이듬해 9월까지 다방동패총에서 시굴·발굴조사(발굴 550㎡·시굴 7200㎡)를 했던 김 위원이 산을 오르다 가던 길을 멈추고 땅 위로 드러난 조개껍데기를 가리키며 설명했다. “여기 보면 하얀 것들이 다 조개껍데기예요. 발굴 전에는 어떤 성격인지 알 수 없는 건데, 눈에 보이는 게 조개니까 여기에 패총이라는 이름이 붙었어요. 고성 동외동패총이나 김해 회현리패총도 주거지인데 패총으로 돼 있죠. 다방동패총 역시 일반 패총이 아니거든요. 고지성 취락이에요.”

그가 언급한 고지성 취락은 조망과 방어에 유리하도록 산 정상부나 높은 지대에 만들어진 주거 집단을 뜻한다. 다방동패총은 해발 287m 산에서 서쪽으로 뻗어 내린 가지 능선 정상(해발 110m)에 조성돼 있다. 여기에는 패총(조개더미)과 주거지가 분포한다. 유적 규모는 20만㎡로 추정된다.

다방동패총에서 확인된 주거지 흔적. /양산시
다방동패총에서 확인된 주거지 흔적과 토기들. /양산시

진해 웅천패총과 입지가 유사하다. 웅천패총은 봉동산(481.2m)에서 남쪽으로 뻗어 나온 자마산 정상 일대에 있다. 두 유적 모두 정상에 유적이 있고 산비탈 경사가 급하다. 웅천패총 등 같은 시기 패총 유적들도 비슷한 입지에 조성돼 있다. 이 시기 취락들은 방어나 조망을 목적으로 조성되었을 것으로 평가된다. 김 위원은 이어 말했다.

“정상부가 취락이에요. 마을인 거죠. 그 주변으로는 환호(마을 주변을 둘러싼 도랑)가 삼중으로 만들어져 있어요. 테두리를 따라서 환호가 있는 건데, 주거지들은 산비탈에 있고 정상에 없어요. 가장자리에 주거지, 그 아래에 패총이 있죠. 먹던 걸 먼 곳에 버리지 않거든요. 그래서 밑에 패총이 있는 거예요. 정상 가운데는 비워두거나 공공장소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패총 유적을 조사해보면 대부분 이래요. 삼한~삼국시대 고지성 취락은 중앙 내부를 비워두는 특징이 있어요. 경작 이후 깎여나갔을 수도 있겠지만, 우리가 (다방동패총을) 일부 조사했을 때는 정상부에 주거지가 없었어요.”

다방동패총에서 확인된 유물들. /양산시

경남연구원 역사문화센터가 산 동쪽 경계 구간에서 진행한 발굴조사 결과를 보면, 주거지 5동, 고상 건물(강당) 1동, 환호 3기, 패총 1기 등 모두 10기가 확인됐다. 주거지는 환호 밖에서 드러났다. 환호는 삼중으로 만들어져 있었으며, 위치는 주거지와 패총 사이였다. 패총은 환호 안쪽에서 확인됐다. 패각층은 3개 층으로 퇴적된 형태였다. 여기에는 굴, 백합, 재첩 껍데기와 동물 뼈 등이 묻혀있었다.

다방동패총에서 첫 고고학적 조사가 진행된 건 1921~1922년이었다. 일본인이 첫 조사를 했다. 일제강점기에 일본 고고학자 하마다 고사쿠와 후지다 료사쿠가 발굴했다. 조사 당시 각종 골각기(동물 뼈, 뿔, 이 등으로 만든 도구)와 토기 등이 확인됐다. 1922년 간행된 <대정11년도고적조사보고>에 약식 보고된 것 이외에 정식 보고는 되지 않았다.

실질적인 최초 발굴조사는 1967년 국립중앙박물관이 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구릉 정상부에 있는 다방동패총을 발굴 조사해 앞서 확인된 유물과 마을을 감싸는 환호를 확인했다. 또 다방동패총이 방어를 목적으로 하는 취락유적임을 밝혀냈다.

경남연구원 역사문화센터는 주거지 형태, 출토 유물을 볼 때 다방동 취락유적이 1~3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원은 앞서 발간한 발굴조사 보고서에서 “양산지역 2~3세기 환호 취락인 양산 평산리와 비교했을 때 다방동 취락은 양산 평산리 유적보다 조금 이른 1세기대에 먼저 조성됐다”며 “적어도 3세기 이전에는 환호가 묻힌 것으로 보인다”고 썼다. 이어 “양산지역 내에서는 삼한시대 가장 이른 시기에 조성된 고지성 취락으로 볼 수 있다”고 적었다.

다방동패총에서 확인된 주거지 흔적. /양산시
다방동패총에서 확인된 주거지 흔적. /양산시

이날 산과 다방마을에서 만난 주민들은 다방동패총 존재를 알고 있다고 밝혔다. 패총 일대에서 농사를 짓는 한 주민(60)은 “땅 소유주는 아니지만, 노는 땅이라 일주일에 한 번씩 산에 올라와서 작게 농사를 짓고 있다”며 “문화재라는 건 들어서 알고 있지만, 나중에 발굴조사가 진행된다면 협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다방마을이 고향이라고 밝힌 또 다른 주민(67)은 “내가 어렸을 때나 지금이나 산 일대 모습이 크게 다르지 않다”면서 “패총이 있는 산은 예전에 돈이 없던 사람들이 올라가서 농사를 짓던 곳이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최근에 조사가 진행된 이후로 이제 주민들도 어느 정도 유적이 있다는 건 알고 있다”며 “그 산을 깎아서 택지개발을 하려는 움직임이 있는데 자연마을 그대로 보존될 수 있으면 좋을 것”이라고 했다.

다방동패총 일대에서 발견된 토기 조각들. /최석환 기자

다방동패총을 포함한 다방동 취락유적은 낙동강과 남해안에서 경주지역으로 진입하는 길목을 조망할 수 있는 산자락에 있어 전략적 요충지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김해 봉황동패총과 같은 시기에 양산을 중심으로 성장했던 가야 세력의 주요 방어 취락으로 볼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백 학예사는 이 패총이 양산의 대표적인 고대 생활유적이라 문화재적 가치가 크다고 설명했다. 양산지역에서 확실하게 가야라고 말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유적이 다방동패총이라 경남도에 문화재 지정 신청을 한 상태라고 했다. 백 학예사는 “주택조합이 만들어져서 패총이 있는 산에 아파트를 지으려는 움직임이 있다”며 “조합 관계자가 시청에 찾아와서 문화재로 지정하지 말라고 얘기한 적이 있었는데 그건 어렵다고 답변한 상태”라고 말했다. 이어 “정비가 안 되어 있는 데다 지형적으로 단절된 측면이 있지만, 양산의 대표성을 가지는 유적인 만큼 지속해서 조사할 수 있다면 한국 고대사 연구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끝>

/최석환 기자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