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관가야 무덤 복숭아씨 발견
처음으로 과실 부장 풍습 확인

김해지역에 있는 4세기대 금관가야 귀족 무덤 안에서 복숭아 부장 풍습이 확인되는 복숭아씨가 처음 출토됐다.

김해시 대성동고분박물관은 문화재청 가야역사문화 환경정비사업의 하나인 '가야유적 발굴유물 학술조사' 과정에서 단일 고분 최대 수량의 복숭아씨와 오이속(박과에 속하는 덩굴식물 속의 하나) 씨앗을 발굴했다고 18일 밝혔다.

복숭아씨는 2001년 조사된 대성동고분군(금관가야 최고 지배층 묘역) 41호 덧널무덤 내 높이 51㎝ 정도 큰 항아리 안에서 나왔다.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결과 4세기대 것으로 보인다. 복숭아씨와 함께 오이속 종자, 돔뼈 등이 출토돼 여름에 장례를 치른 것으로 추정된다.

▲ 김해시 대성동고분박물관이 발굴한 복숭아씨와 오이속 씨앗. /김해시
▲ 김해시 대성동고분박물관이 발굴한 복숭아씨와 오이속 씨앗. /김해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유기물 분석을 한 결과, 다양한 크기의 재배 복숭아가 과실 상태로 부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4세기대 고분에서 복숭아를 과실 상태로 부장하는 풍습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무덤 안에 복숭아를 부장하는 습속은 채협총, 정백동 19호분 등 중국 한문화 영향을 받은 낙랑 무덤에서 주로 확인된다. 특히 김해에서 340여 점이 출토돼 출토량 면에서도 압도적이다.

복숭아 부장 풍습은 중국 한나라 식생활과 음식물 부장 풍습이 유입된 결과로 금관가야 목곽묘 문화 기원과 관련된 중요한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국내에서 복숭아씨가 주로 출토되는 것은 생활유적과 우물, 집수정, 구하도 등으로 청동기시대 이후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이는 복숭아가 지닌 의례적·벽사적(귀신을 물리침) 기능과 관련된 것으로 분석된다. 복숭아는 벽사의 의미, 주술적, 의례적 성격을 지니며 '서왕모의 반도' 설화와 관련해 장수 의미로도 해석된다.

대성동고분박물관 관계자는 "내세에도 삶이 이어진다고 믿었던 금관가야인들은 다음 생에서도 평안이 계속되기를 바라는 염원을 담아 복숭아를 부장해 불로장생을 기원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