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가 다양화하면서 예전에는 눈길을 끌지 않았던 분야를 발굴하고 지원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경계선지능 청소년 지원은 경남아동옹호센터 등 일부 민간단체를 제외하고는 미미하다.

이름조차 낯선 경계선지적기능인은 지적장애인과 비장애인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이들로 지적 기능과 적응 기능에서 평균 이하를 보이는 사람이다. 대체로 IQ 70~85 또는 70~79 사이 사람이 해당되며, 인구학적으로는 전체의 13.5%가량을 차지한다는 추정이 나와 있다. 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능이 평균보다 낮은 만큼 경계선지능인이 겪는 불편은 전 생애에 걸쳐 있다. 학령기에는 학습 능력이나 교우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성인기에는 대학 진학, 병역, 취업에서 곤란을 겪는다. 그러나 이들은 지적 장애인으로 분류되지 않으므로 지원을 받을 수 없다. 장애인-비장애인으로 나누어진 현행 사회 제도에서 철저하게 배제된 존재가 이들이다.

어디에나 있지만 '느린 학습자들'을 거의 주목하지 않는 경남도가 그나마 참조할 수 있는 곳은 다른 지자체다. 광주광역시, 경기도 여주시, 서울시 일부 구는 경계선지능인 지원조례를 제정했고, 서울시의회는 지난해 전국 최초로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 지원을 위한 조례안을 마련한 상태다. 서울시 인가형 대안학교인 예룸예술학교에서는 통섭 예술 프로그램이 경계선지능 청소년의 사회성이나 자존감 향상에 기여한다는 보고를 내기도 했다. 정규 교육과정이나 공교육 체계에서조차 지원을 찾을 수 없는 경남에 비하면 훨씬 앞서가는 것이다.

성장기에 교육을 통해 경계선지능인의 기능을 향상할 수 있다는 보고도 있는 만큼 교육당국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실태조사를 통해 도내에 얼마나 존재하며 그들의 기초적인 욕구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정규 학교 교육과정에서 개입하고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짜야 한다. 교육 당국은 청소년기 학업과 사회성 향상에 집중하고, 경남도와 각 지자체는 성인기 복지, 취업, 평생교육 지원, 관련 법제 도입에 힘쓰는 등 기초적인 틀을 마련해야 한다. 교육이나 사회적기업 취업 지원 등 이미 활동을 벌이고 있는 민간단체와 협업하는 것도 필요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