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8·9월 폭우·태풍 연이어
산사태 상황실 운영·시설 점검
지하차도·공사장 등 안전 강화

올해 장마 기간은 지난해와 달리 17일에 불과했다. 역대 세 번째로 짧았다. 하지만 지난달 장마 전선은 남부지방에 집중해 머물렀다. 경남은 지난달 5~8일 평균 337㎜ 비로 35억 원의 재산 피해를 보았다. 인명 피해는 없었다.

8월에 접어들며 태풍·폭우 긴장감도 커지고 있다. 도는 올해 피해 최소화를 위해 분야별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 경남소방본부 관계자는 "기상 이변이 일상화되었다"며 "특히 올해는 평균 수온 상승 등으로 태풍 발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경남은 지난해 8~9월 태풍·호우로 큰 피해를 보았다. 지난해 경남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태풍은 △장미(8월 10일) △바비(8월 26일) △마이삭(9월 3일) △하이선(9월 7일)이었다. 다행히 사망사고는 없었다.

하지만 마이삭·하이선은 연이어 닥치며 도내 공공·사유시설 1만 295곳에 피해를 안겼다. 전체 피해액은 203억 원으로 집계됐다. 도는 495억 원(국비 215억 원, 도비 53억 원, 시군비 227억 원)을 확보해 복구를 이어갔다.

폭우는 더 큰 생채기를 남겼다. 지난해 장마 기간은 무려 54일이었다. 1973년 기상 관측 이래 최장이었다. 특히 8월 5~9일 곳에 따라 400㎜ 가까운 비가 쏟아졌다.

2명은 목숨을 잃었다. 거창 한 주민은 경운기를 몰고 가다 토사에 휩쓸렸고, 밀양 한 주민은 배수로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다 하천에 빠졌다. 산사태는 산청·거창·함양·합천 등 모두 18곳에서 일어났다.

전체 피해액은 804억 원(15개 시군 4346건)이었다. 합천군이 306억 원으로 가장 큰 피해를 봤고, 하동군 138억 원, 거창군 126억 원 등이었다.

합천군·하동군·거창군·산청군·함양군, 의령군 낙서·부림면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됐다. 도는 2626억 원(국비 2069억 원, 도비 177억 원, 시군비 380억 원)을 확보해 복구를 이어오고 있다. 태풍·폭우 피해 복구는 1년 가까이 지난 지금도 진행 중이다.

2020년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당한 하동 화개면 침수 지역 복구 현장. /경남도민일보 DB

경남도는 올여름 자연재해 대응 중심을 '인명 피해 제로'에 두고 있다.

도는 태풍 예보 때 △상황 판단 회의 개최 △비상 근무 단계 결정 △현장 상황 관리관 파견 △협업 부서 및 시군 조처 점검 등으로 사전 대응한다.

특히 오는 10월 15일까지 '산사태 대책 상황실'을 운영한다. 산사태 위기 경보는 관심-주의-경계-심각이다. 도는 판단 기준을 최대한 강화해 시설 점검, 휴양객·주민 대피 등에 적용한다. 도는 올해 말까지 추가 조사로 산사태 위험 등급을 구분한다. 취약 지역에는 구조물을 설치하고, 주민 비상 연락망 구축 등을 한다.

도는 분야별 점검도 마쳤거나 이어가고 있다. 도내 침수 우려 지하차도를 27곳으로 파악하고, 자동차단시스템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

더불어 6일까지 타워크레인 설치 공사 현장 76곳에 대해 안전 점검을 한다. 특히 아파트 신축 공사로 타워크레인이 많은 김해·거제·양산을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앞서 태풍·폭우에 따른 가스 사고를 막기 위해 지난달 LPG 소형 저장 탱크, 도시가스 정압기, 교량 노출 배관, 도시가스 배관 공사장 안전관리 점검을 마쳤다.

도 관계자는 "자연재해 발생 때 신속·정확하게 대처하기 위해 재해취약지역 등 위협 요인을 철저히 점검하고 시군과의 유기적인 협조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경남소방본부는 자연재난 행동 요령을 적극적으로 안내하고 있다. 태풍 예보 때 주요 행동 요령은 △태풍 도달 시간을 파악해 대피 방법을 미리 생각할 것 △가스 누출 피해 예방을 위해 미리 차단 △공사장·전신주·지하공간 등에는 접근하지 말 것 △태풍 후에는 가까운 행정복지센터에 피해 신고를 할 것 등이다.

호우 예보 때는 △과거 발생했던 내 지역 정보 미리 확인 △개울가·하천변·해안가 등 급류에 휩쓸릴 수 있는 지역에는 접근하지 말 것 △농촌 지역에서는 논둑·물꼬를 보러 나가지 말 것 등이다.

도는 지난 4월부터 '재난안전연구센터'를 운영(경남연구원 위탁) 중이다. 센터는 경남 지리적 여건, 산업적 기반 등을 고려한 경남형 재난안전 정책을 만든다. 도는 안전체험관도 지난 4월 개관해 지진·붕괴·태풍·침수 체험 기회를 도민에게 제공하고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