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 민주항쟁'분리해 설명
3·15 사업회-김주열 사업회
"수정해야""토론 의향 있어"

1960년 4월 11일 마산시민들이 벌인 민주화 운동이 3·15의거의 일부인지, 4·11민주항쟁이라는 별개의 운동인지를 둘러싼 민주화 관련 단체 간 해석 갈등이 다시 수면으로 부상했다. 김주열 열사 시신인양지 위 동상과 함께 들어설 추모벽에 '4·11 민주항쟁'이라는 문구가 들어가서다.

1960년 3월 15일 마산시민들은 자유당 부정선거에 분노하며 거리로 뛰쳐나왔다. 경찰의 진압에 부상자가 속출했고, 잠시 잦아들었던 시위는 4월 11일 다시 촉발됐다. 눈에 최루탄을 맞은 김주열 열사의 시신이 마산 중앙부두앞바다에 떠올랐다. 시위는 3일간 이어졌고, 전국으로 확산돼 4·19혁명의 도화선이 됐다.

우리가 '3·15의거'라고 부르는 민주화운동의 기억이다. 하지만 관련 민주화단체 두 곳은 이전부터 운동의 성격 규정을 달리했다. 3·15의거기념사업회는 3월 15일부터 4월 13일까지 전후한 저항 과정 전체를 '3·15의거'라고 본다. 구체적으로는 15일을 1차 의거, 11일부터를 2차 의거로 구분한다. 반면 김주열열사기념사업회는 전자를 '3·15의거', 후자를 '4·11 민주항쟁'이라는 별개의 민주화운동으로 해석한다. 두 단체는 오랫동안 '3·15의거 기념식'과 '4·11민주항쟁 기념식 및 김주열 열사 추모식'이라는 이름으로 별개의 기념식을 진행했다.

그런데 지난해 김주열열사기념사업회가 '4·11 민주항쟁은 4·19혁명의 첫날'이라고 홍보하기 시작하면서 갈등이 본격화했다. 3·15의거기념사업회 측은 3·15의거의 역사적 의미가 축소되고 시민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며 경계했고, 김주열열사기념사업회 측은 자유로운 역사 해석이 곧 민주화 정신이라고 맞받았다. 양 단체 대표들은 <경남도민일보> 지면에서 9차례 논쟁을 주고받기도 했다.

잠잠했졌던 두 단체 간 갈등은 올해 다시 수면으로 오를 전망이다. 이번에는 김주열 열사 시신인양지에 들어설 추모벽 문구가 불씨가 됐다. 열사 일대기를 새긴 이 벽에 '4·11 민주항쟁'이라는 문구가 들어가자 3·15기념사업회에서 다시 문제를 제기했다. 오는 30일 예정됐던 동상 제막식은 코로나19 재확산에 이 문제까지 겹쳐 보류됐다.

남기문 3·15기념사업회 상임이사는 "창원시가 3·15의거기념사업회 의견 수렴도 없이 문구를 새긴 일을 이해할 수 없으며, 제막식 전에 수정해달라고 요구했다"고 말했다.

반면 김영만 김주열열사기념사업회 상임고문은 "직접 만나 설득하면 토론할 의향이 있는데, 그러지 않으면서 창원시 입장만 난처하게 만드는 이유가 궁금하다"고 말했다.

창원시 관계자는 "김주열열사기념사업회에 자문을 했지만, 공식행사에 자주 쓰였던 문구인데 이렇게 민감한 문제일 줄 몰랐다"며 "양 단체 의견을 잘 조율해 의미 있는 끝맺음을 보여줄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