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사업자 선정에서 전환형 사업자로 기존 경남이 울산과 연합한 경남·울산 플랫폼이 뽑혔다. 기존 경남형 공유대학을 개편해 3개 분야 6개 전공을 5개 분야 8개 전공으로 확대하고 정원을 300명에서 500명으로 증원한다. 공유대학 학생은 공통 교양과정과 전공 심화 과정을 이수하면 '소속 대학'과 '경남형 공유대학' 학위를 동시에 받는다. 지역 참여 기업은 인턴십 기회를 제공하고 이들 인재를 채용한다.

지역 대학 혁신에 지자체까지 재정을 대규모로 투입하고 지역 기업도 참여함으로써 지역 혁신을 위한 토대를 키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한계도 있다. 사업대상 학생수가 300명에서 500명으로 늘어났지만 규모가 작다. 지역 대학의 신기술 연구개발 역량을 키울 계획이 미흡하다.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선정에서 8개 분야 중 주관대학을 지역대학에서 맡은 것은 인공지능 분야의 전남대가 유일하다. 지역대학의 현재 취약한 연구역량에 따른 결과일 수 있지만 주관대학을 거점 국립대로 할 경우 지역대학 연구역량을 키우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앞으로 과제는 공유대학 사업을 얼마나 잘 수행하여 기대하는 성과를 내느냐다. 우수한 학생을 얼마나 확보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참여대학들이 얼마나 우수한 교과 과정을 제공하고, 기업이 요구하는 지식역량을 갖춘 우수한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 이를 위해서 필요한 조건이 있다. 서울(수도권) 상위권 대학 학부 신입생 정원을 3000~4000명 수준에서 미국 명문대학들처럼 1500~2000명 수준으로 대폭 줄이고, 이 대학들은 대학원 중심의 연구중심대학으로 육성해야 한다. 그래야 우수한 학생들이 지역 대학에도 진학할 수 있다.

또한 대학교육 질을 높이는 데 필수적인 교수 1인당 학생수 감축을 위해 교수를 대폭 늘려야 한다. 1인당 교육비 규모를 서울대 수준으로 올려야 한다. 이를 달성하는 데는 과감한 재정 투입이 필수적이다. 중앙정부는 물론 지자체도 지역 국립대 수준을 수도권 상위권 대학과 같은 수준으로 올리기 위해 지역대학에 재정을 지원하여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