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 달째 지속되는 군부 대학살
정치권·소수민족·교사·학생 등
민주주의 회복 위해 곳곳 투쟁

미얀마 군부 쿠데타가 일어난 지 석 달. 국제사회 압박은 여전히 효과가 없지만, 군부에 맞서 임시정부 격인 국민통합정부(NUG)가 출범했고 민주화를 향한 미얀마 시민의 열망도 꺾이지 않았다. 경남시민사회도 연대 움직임을 멈추지 않고 있다.

◇민주화 향한 목마름 = 지난 2월 이후 국제사회가 각종 규탄·성명을 발표했지만, 군부 태도는 그대로다. 4월 24일에는 △폭력 중단 △건설적 대화 △특사 방문 등 내용을 담은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특별정상회의 합의안이 나왔다.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 군 최고사령관이 참석해 군부 태도 변화에 기대를 모았지만, 군부는 "상황이 안정된 뒤 아세안의 제안을 고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제사회가 미적지근하게 움직이는 동안 미얀마 정치권은 국내 반군부 세력의 힘을 모으고 있다. 하룻밤 새 정권을 뺏긴 민주주의민족동맹(NLD) 정치인들은 군부의 눈을 피해 미얀마 연방의회 대표위원회(CRPH)를 조직해 활동해왔다.

4월 16일에는 소수민족까지 아우른 국민통합정부 출범을 선언했다. 이들은 문민정부를 계승한 NUG를 미얀마 유일 합법 정부로 인정해달라며 국제사회에 호소하고 있다. 카렌족·카친족 등 소수민족 부대는 곳곳에서 미얀마 군부와 교전 중이다.

미얀마 시민은 여전히 군경의 학살에 노출돼 있다. 미얀마 정치범지원협회(AAPP)가 지난 4일 파악한 사망자는 769명이다. 아세안 합의안이 나온 이후 최소 20명 이상이 더 희생됐지만, 시민 투쟁은 현재진행형이다. 특히 'Z세대'라 불리는 청년들은 시위에 앞장서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 전 세계와 소통하는 등 민주화 운동의 중심에 있다. 군부는 청년들을 체포해 구타하거나 담뱃불로 지지는 고문을 가하고, 사진을 공개하는 방식으로 이들의 기를 꺾으려 하고 있다. 최근 군부가 5월 개학을 준비하자, 이에 맞선 교사·학생들의 투쟁도 가시화됐다. 지난 4일 몽유와시에서는 초·중·고등학생들이 '군부치하 노예교육 반대'를 선언하며 등교 거부 시위를 벌였고, 만달레이시에서는 대학교수·총학생회·시민들이 거리에 나섰다.

◇도민 연대 움직임도 지속 = 세계 시민도 미얀마 민주화를 지지하는 움직임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한국 민주화의 물꼬를 튼 경남지역 시민은 연대 활동에 적극적이다. 경남이주민연대, 한국·미얀마연대, 경남미얀마교민회, 경남이주민센터가 지난 3월부터 매주 일요일 여는 연대집회는 9회째를 맞았다.

3·15의거기념사업회,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 김주열열사기념사업회, 6월항쟁정신계승경남사업회 등 도내 민주화운동 관련 단체, 경남지식연대 등 128개 시민·종교 단체, 민주노총 경남본부·금속노조 경남지부 등 노동계는 성명을 내거나 집회에 참석하는 등 한목소리로 미얀마 시민을 응원 중이다.

천주교 마산교구도 지난달 12일 '미얀마 민주화를 위한 미사'를 열었다. 평범한 도민들이 집에서 손팻말을 만들어 가족 단위로 일요 시위에 참여하는 일도 늘어나고 있다.

미얀마 현지 민주화 운동과 부상자 치료에 쓰일 모금 운동도 활발히 진행됐다. 경남이주민센터가 1차로 920여만 원을 모았고, 도내 민주화운동단체들이 추가로 1400여만 원을 모금했다.

이와 별개로 김주열열사기념사업회는 4·11 민주항쟁 기념 추모식 현장에서 262만 원을 모았고, 진주YMCA도 123만 7000원을 모아 한국YMCA 전국연맹에 전달했다. 금속노조 경남지부 역시 조합원 대상으로 모금운동을 벌이고 있다.

한편, 오는 9일 오후 1시 창원역 광장에서 '미얀마 민주주의 연대 10차 일요시위'가 열릴 예정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