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이용량 80만 건 줄어
운영비 증가·수입 감소에 고민
접근성·효율성 개선 제안 봇물
앱 결제·전용차로 등 도입 건의

창원시 공영자전거 누비자에 빨간색 '경고등'이 들어왔다. 지난 2008년 10월 도입된 누비자는 근래 몇년 동안 갈수록 이용자가 감소하고 있다. 최근에는 개인형 이동장치(PM·Personal Mobility) 등 새로운 이동수단 시스템이 등장하면서 자칫 누비자가 사라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21일 마산YMCA 시민사업위원회가 '창원시 공영자전거 누비자 활성화 방안 마련 시민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 참석자들은 누비자를 단지 경제성으로만 따질 수 없다면서 터미널이 필요 없는 새로운 공유형 누비자와 전기 누비자 도입, 자전거 우선 교통신호 체계 도입, 창원 주요 도로 1개 차로를 자전거 전용도로로 지정해 누비자 활성화를 모색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 대형마트 앞 거리에 비치되어 있는 누비자 자전거.  /김은주 인턴기자 kej@idomin.com
▲ 대형마트 앞 거리에 비치되어 있는 누비자 자전거. /김은주 인턴기자 kej@idomin.com

◇누비자의 위기? = 이날 박기준 창원시정연구원 책임연구원(교통공학 박사)은 '창원시 누비자 발전방안'을 발표했다.

박 연구원은 먼저 최근 5년간 누비자 이용량을 인용했는데, 2015년 571만 1527건에서 2019년 491만 7323건으로 크게 줄었다. 그는 이용자 감소 원인에 대해 △노후화된 자전거 △창원지역에만 집중된 시설 △민영 킥보드 공유서비스 등장과 확산 등으로 짚었다.

박 연구원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5년간 누비자 운영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수입은 감소하고 있다"며 "또 운영비 가운데 인건비가 73.1%를 차지(2019년 기준) 하고, 누비자를 재배치하는 차량도 8년마다 교체해야 하는 등 큰 비용이 소모된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박 연구원은 "민영 공유킥보드와 비교했을 때 누비자가 요금도 저렴하고 청소년 등 다양한 계층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점, 창원시 전역에서 탈 수 있는 점 등 공영자전거 시스템은 반드시 필요하다"며 "누비자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만들어가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누비자 활성화 방향을 △누비자 시스템 효율성 제고 △누비자 서비스 지역 확대 △전기자전거, PM 누비자 도입 등 세 가지로 제시했다.

그는 구체적인 효율성 제고 방안으로 (가칭) 누비자 히어로즈 플랫폼을 구축하자고 제안했다.

"누비자 재배치 1건당 평균 비용이 인건비, 차량 감가상각비를 포함해 2278원으로 나온다. 이러한 고비용 재배치 시스템을 이용자 스스로 재배치할 수 있도록 바꾸어 보면 좋겠다"며 "재배치가 필요할 때 옮겨주면 누비자 마일리지 500원 적립 등을 검토해보면 좋겠다. 그 외 카드결제, 앱결제, 이용권 선물하기 등 이용자 편의 시스템을 구축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 '창원시 공영자전거 누비자 활성화 방안 마련 시민토론회'.  /민병욱 기자 kej@idomin.com
▲ '창원시 공영자전거 누비자 활성화 방안 마련 시민토론회'. /민병욱 기자 kej@idomin.com

◇창원시 "터미널 필요없는 공유형 누비자 도입" = 이어 토론에 나선 이승룡 창원시 교통정책과장은 "누비자는 예산 투입 대비 수입이 적은 것은 사실이다"며 "하지만, 시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공공서비스인 공영자전거 운영을 손익계산의 경영적인 부분에 국한하지 않고 환경(2020년 탄소 3895t 줄이기), 에너지 절약, 건강 증진, 여가 등 다양한 지표를 가지고 판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과장은 누비자 활성화 방안으로 창원시에서 공유형 킥보드 운영 시스템과 같은 '공유형 누비자'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누비자 터미널 설치비용은 보관대 20대 기준 터미널 1곳당 약 5000만 원이 소요된다. 누비자 터미널을 보도에 설치하면 누비자 이용자와 보행자 간 안전을 고려해 보도폭이 4.5m 이상 되어야 설치할 수 있다. 이 탓에 옛 마산과 옛 진해는 누비자 터미널이 적을 수밖에 없다. 시에서는 누비자 비용을 줄이고, 설치공간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공유형 누비자라고 생각하고 있다. 휴대전화와 같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장치에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접촉식 태그(교통카드형) 잠금장치 등을 설치하면 기존 터미널에서만 대여, 반납을 하지 않아도 돼 효율성이 커질 것으로 기대한다."

이 밖에도 그는 2023년 6월 개통 목표로 추진 중인 S-BRT(Super-Bus Rapid Transit·간선급행버스) 등 버스와 누비자 환승시스템도 구축할 예정이라고 했다.

◇자전거 우선 교통신호 체계 도입 = 이윤기 마산YMCA 총장은 '누비자 2.0을 위한 제안'을 했다.

이 총장은 "누비자와 개인이 소유한 자전거의 이용률을 높이려면 안전한 자전거 전용도로를 확보하고, 자전거가 교차로를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는 자전거 우선 교통 신호체계 등이 종합적으로 도입되어야 한다"고 했다. 최명 '걷는 사람들' 회원도 "차도 중 1개 차로를 자전거 전용도로로 지정했으면 한다"고 했다.

이윤기 총장은 또 최근 공공자전거 영역에 민간사업자 진출에 따른 폐해도 지적했다.

그는 "경기도 고양시와 안산시가 적자 누적으로 공공자전거를 없애고 민간사업자가 운영하는 공유자전거 시스템을 도입했는데 시민들의 요금 부담이 크게 늘었다"며 "수원과 부산 등에서는 민간사업자가 사업을 시작했다가 영업 손실이 발생하자 서비스를 일방적으로 중단하기도 했다. 공영자전거와 달리 민간사업자는 비싼 요금을 받을 뿐만 아니라 수익이 나지 않으면 언제든지 사업을 그만두고 철수한다.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들 몫이다"라고 했다.

누비자는 연간 회원은 3만 원, 6개월 1만 8000원, 1개월은 4000원을 내면 이용할 수 있다. 1일 이용 금액은 1000원이다. 반면 수원시의 민간공유자전거 '타조'는 20분에 500원, 10분에 200원 추가 요금, 한 달 정액권은 1만 원이며, 연간은 12만 원을 낸다. 안산의 카카오T바이크는 15분 기본요금 1500원에 분당 100원씩 요금이 추가된다.

염진아 마산YMA시민사업위원은 "누비자가 나아갈 방향으로 지역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며 "평지가 많은 창원에는 자가 동력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경사가 높은 마산 등에는 전기 자전거를 도입하고, 바닷가를 달릴 수 있는 진해에서는 관광용 누비자를 도입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최태개 창원레포츠파크 공영자전거팀 팀장은 누비자의 부족이 이용률 감소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터미널 284개, 보관대는 6444개가 되는데, 정작 누비자는 보관대의 60% 수준인 3900대에 불과하다고 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