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찾아 서울로 떠나는 학생들 많아
균형발전 외면 정치인 누군지 지켜보자

국회 국정감사가 마무리됐다. 올해 국감에서 내 주의를 가장 확실하게 잡아 끈 사안은 윤석열도 추미애도 아닌 '경북대 자퇴생'이었다.

국민의힘 김병욱 의원이 내놓은 자료에 의하면 경북대에서 최근 5년간 자퇴한 학생이 무려 3000명 가까이 된다. 그리고 이들 학생의 자퇴 이유는 대부분 다른 학교로 가기 위함이다. 학생들은 어느 학교로 갔을까?

한명 한명 확인하지 않아도 누구나 짐작하는 대로일 것이다. 지역 명문대로 꼽히는, 정부로부터 비교적 많은 지원을 받고, 취업에서도 어느 정도 유리한 지역거점국립대학교를 자퇴한 학생이 갈 곳은 '인 서울'뿐이다. 물론 소수 예외는 있겠지만 말이다. 다른 지역 국립대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부산대, 전남대, 충남대 등에서도 한 해 자퇴생이 500명에 이른다는 보도 내용이 있었다. 대학도 서울 쏠림이 심하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이 정도로 심각할 줄은 몰랐다. 그 많은 학생들은 왜 지역 명문대, 이른바 '지거국'을 스스로 떠났을까?

양승훈 경남대 사회학과 교수는 지난 9월 <시사IN>에 기고한 '동남권 지방대 학생의 서러운 안분지족'이라는 글을 통해 동남권 대학 학생들이 처한 현실을 이렇게 진단했다.

동남권에서는 이미 생산직마저도 대기업 정규직 신규 일자리는 거의 없어지고 최저임금+알파, 즉 200만 원 정도 월급을 받는 사내 하청이나 협력업체 일자리만 있다. 이 200만 원짜리 일자리는 대체로 회사를 오래 다녀도 월급이 오르지 않는, 오른다 하더라도 소폭 오르는 데 그치는 일자리다.

그나마 부모의 지원을 좀 받는 대학생들은 세월이 오래 걸려도 공무원·공기업 채용 시험에 매달리고, 그렇지 못한 대학생들은 200만 원짜리라도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일할 자리를 찾아 헤맬 수밖에 없는 것이 동남권의 현주소라는 것이다.

서글픔을 넘어 분노스러운 현실이다.

이는 모든 것이 오로지 서울 수도권에 몰려 있음으로 해서 빚어지는 현상이다. 이대로 가면 지역 대학이 무너지는 것은 물론이고 그 전에 지역도 죽는다. 남탓 하자는 것이 아니다.

양 교수는 글 끝에 "수도권과 지방, 학력에 따라 지나칠 정도의 차별과 차등의 선이 그어진 노동시장 문제를 해결해나가기 시작하지 않는다면, 뉴딜을 통해 가능해질 번영 역시 격차를 더욱 늘리는 쪽으로 동원될 뿐이다"라고 강조했다. 문재인 정부를 향한 목소리였다. 틀린 말이 아니다.

다만, 서울과 지역의 격차를 줄이고 지역을 살리는 데는 여야 할 것 없이 지역 정치권이 한목소리를 내고 힘을 모아야 한다.

국감은 끝났지만 유권자들은 유심히 따져봐야 한다. 이번 국감에서 우리 지역 국회의원 중 누가 지역균형발전을 이루는 데, 지역 대학을 살리는 데, 지역 일자리를 늘리는 데 큰 목소리를 냈는지, 그리고 어느 국회의원이 정쟁에만 몰두했는지 반드시 살펴보고 기억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