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서 관복 등 거창함 지적
시대 따라 제례내용 변화 분석도
전문가 "원형 찾기가 우선"제기

김해시가 숭선전제례(崇善殿祭禮·경남무형문화재 제11호)를 국가문화재로 승격시키려면 '숭선전제례의 거창함'을 오히려 축소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 같은 진단은 지난 16일 열린 '숭선전제례 국가무형문화재 승격을 위한 학술대회'에서 국가문화재로 승격되려면 숭선전제례 원형 찾기가 먼저라는 지적과 함께 거론됐다.

숭선전제례는 가락국 시조대왕 수로왕과 왕비 허황옥을 비롯해 2대 도왕부터 9대 숙왕까지 가락국 9왕조의 왕과 왕비를 추모하는 제사다.

학술대회에서 '국가의례 측면에서 본 '숭선전제례' 검토'를 주제로 발표한 한형주 경희대 교수는 "<숭선전제례>에 1956년 숭선전 춘추대제에 삼헌관 제도의 정식을 시행했다고 했는데, 이러한 조처는 문헌에 의한 올바른 제도를 복구한 것이 아니라 김해 지역에서 제사 위격을 높이려는 목적으로 시행한 것"이라며 "실제로 국가의례에서는 그 제도가 시행된 적이 없었다"고 밝혔다.

또 "<대한예전>에 역대시조 헌관은 1명이었고, 이 사람이 초헌관, 아헌관, 종헌관 역할을 전부 시행했던 것으로 나타난다"며 현재 제례에 헌관이 3명인 점과 다르다고 말했다.

숭선전제례에 쓰인 제물도 소사(작은 제사) 규모였다고 설명했다. 한 교수는 "<숭선전제례>엔 제물을 10변 10두 중사(中事) 제례 의식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규정해 시행하고 있는데, 정조대에 숭덕전 사당을 수리했다는 기록에서 '숭덕전에서는 8변 8두를 사용한다'고 언급된 것으로 보아 이미 숭덕전에서도 사용하는 제수를 숭선전에서 특별히 높여 사용할 리가 없다"고 강조했다.

제사 때 쓰는 제관도 현재 제례처럼 거창하지 않았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한 교수는 "헌관이 3명이라든지, 중사 제사를 표방했지만 소를 희생으로 사용한다든지, 관원 복색을 제멋대로 1품관 복장을 했다든지, 왕이 지방관을 김해로 보내도록 조처했지만 중앙관청 관직자를 따로 보낸 적이 없는데 시행됐던 의례 중 음악이 경상도까지 왔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이런 주장에 대해 토론자인 이정주 단국대 교양교육대학 교수는 "시대에 따라 제례 내용이 변했고 종묘, 문묘 등 현행 제례들도 제주도에서 키우는 소만을 올리지 않듯이 전통을 그대로 고수하지 않는다"며 "김수로왕 제례도 어느 정도 변화는 허용되지 않겠는가"라는 견해를 밝혔다.

또 오세길 경남도문화재위원도 "현재 방식의 연원을 사료에 기대어 절대적으로 규정해서는 안 된다"며 "제례 특성상 변화 폭이 다른 민속문화에 비해 제한적이라 할지라도, 민속문화는 시대적 상황과 향유층 인식을 반영해 변하는 것이 본질"이라고 말했다.

이어 "숭선전제례 형식과 내용이 다양한 변화 과정을 거쳤을 가능성을 인정하고, 전승 계보에 기반한 숭선전제례 역사성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런 절차는 숭선전제례 내용과 형식의 엄밀성, 차별성·고유성 문제와도 직결되며 엄정한 고증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이와 관련해 김병오 김해시 문화관광사업소 국장은 "전문가들이 제기와 제물 형식, 대사(大事) 제례, 화려한 관복 등을 지적하면서 원형 찾기가 먼저라고 제안했다"며 "문제점들을 고려해 김해김씨 종친회와 함께 제례 가치와 문화재 인식을 어떻게 가져가야할지 검토해보겠다"고 말했다.

김해시는 오는 31일 수로왕릉(사적 제73호)에서 숭선전(참봉 김학길) 추향대제를 봉행할 예정이다.

숭선전제례는 매년 음력 3월 15일, 9월 15일에 춘·추향대제로 봉행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