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회 경남청소년문학대상 심사평

문학은 상상력을 먹고 자라는 나무다. 나무는 현실에 뿌리를 내리고 있어야 한다. 현실에 뿌리내리지 못한 상상은 망상이다. 현실을 벗어나 무한대일 것 같은 인간의 상상은 실제로 철저히 현실에 발목이 잡혀 있기 일쑤다. 청소년이라 해서 예외일 수 없다.

경남청소년문학대상에 응모한 작품들을 보면 지금 현재 청소년들이 딛고 선 현실을 읽을 수 있다.

청소년들은 세월호 사고와 같은 거대한 재난에 직면했을 때, 혹은 교육이라는 제도적 억압에 짓눌려 미래가 보이지 않는 현실에 고통받고 있다. 친구와 크고 작은 문제로 갈등을 겪고 왕따를 당하는가 하면, 해체 위기의 가정에서 절망하기도 한다.

문학은 현실을 바탕으로 상상력을 이용해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는 것이다.

그래서 현실을 지나치게 벗어나거나 현실에만 묶여 있는 것 대신 진실이 담긴 허구의 세상, 이른바 새로운 세계를 추구한 작품을 중심으로 점수를 더 주었다.

총 응모작은 305편(중등 운문 87편, 산문 60편, 고등 운문 95편, 산문 63편)이었다. 부문별로 10여 편씩을 먼저 뽑고, 이를 집중적으로 검토하고 토론해 입상작을 최종 선정했다.

고등부 산문은 세월호라는 무거운 주제를 소설이라는 그릇에 맞춤하게 담은 '그때 그 시간'을 대상으로 선정했다. 학교와 친구 문제를 작지만 맞춤한 소재(김치볶음밥)로 잘 버무린 '나에게 김치볶음밥이란'도 나름 재미있었다. 반면 교육, 동성애, 경쟁 등 주제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한 구성이나 논거의 작품은 뒷순위가 될 수밖에 없었다.

고등부 운문은 전체적으로 구태의연한 사고와 평범한 사유에서 안일한 서술구조를 가진 작품들이 많았다.

시가 어떤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 작품과 무턱대고 어찌 되겠지 하는 심정으로 써낸 글 사이에서 희비가 갈렸다. 소품이지만 다른 작품들보다는 시적인 장치가 잘된 '아버지를 안는 법'을 뽑은 이유다.

중등부 산문은 대체로 아직 주제를 문학적으로 소화하지 못하고 있다는 느낌이 강했다.

학교 수업과 글쓰기 사이의 괴리를 보는 듯했다. 그중에서 아토피 피부염 때문에 이사 간 마을에 대해 쓴 '내가 사는 마을, 원동'을 대상으로 선정했다. 비슷해 보이는 마을 풍경이지만 계절마다 혹은 시각마다 다르게 보이고 다른 느낌을 주는 것, 또 그것이 자신에게 미친 긍정적인 영향도 잘 포착했다.

중등부 운문은 대부분이 가족, 학교, 친구를 주제로 한 내용이었다. 꾸준한 습작을 짐작게 하는 작품도 더러 있었으나 자신만의 사유 없이 일상의 대화체를 그대로 옮겨온 것에 머문 작품도 많았다. 여과 없이 전달하는 사실적 표현과 진솔한 맛을 내는 독창적인 표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해 보였다.

그중 너무 평이한 문장이 아쉬웠지만 나름대로 표현의 구체성과 절제력이 더 시적인 '에잇'을 으뜸작으로 뽑았다.

대상과 장려, 또 당선하지 못한 글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그러나 그 차이란 아주 미미하거니와 언제든 따라잡을 수 있는 수준이다.

문제는 열정과 끈기다. 오래 그것을 붙잡고 놓지 않는다면 그 꿈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건투를 빈다.

◇심사위원장 = 하아무

◇심사위원 = 이규석, 양곡, 표성배, 최상해, 김연희.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