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시 진해구 성내동 325-9번지 일대의 웅천읍성입니다.

웅천읍성은 세종 16년(1434년) 남해안 지역에 출몰하던 왜구와 제포왜관의 왜인들을 통제하기 위해 건설됐습니다.

조선 전기 왜구들의 약탈이 심해지자 일본인들의 왕래와 거주를 허용하는 삼포를 개항합니다.

그중의 한 곳이 진해 웅천의 제포입니다. 제포는 삼포 중에 가장 큰 왜인 거류지였으며 웅천읍성과 1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었습니다. 

삼포 개항 당시엔 소수에 불과했던 일본인들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불법 이주와 장기 거주하는 사람도 늘어나게 됩니다.

DDD.jpg
▲ 경남 창원시 진해구 성내동 325-9번지 일대의 웅천읍성. / 김구연 기자

거주지 내에서만 어업과 농업을 위주로 생활하던 왜인들은 점차 거주지역을 이탈해 세력을 확장하면서 사회문제가 됩니다.

이에 조선 정부는 주민들을 보호하고 왜인들에게 엄격한 통제를 가하기 위해 쌓은 성이 웅천읍성입니다.

그 후 엄격한 통제에 불만을 품은 왜인들은 1510년 중종 5년에는 삼포왜란을 일으킵니다.

이 삼포왜란으로 웅천읍성이 함락 당하기도 했으며 동문 등 일부 시설이 불타기도 합니다.

구.jpg
▲ 경남 창원시 진해구 성내동 325-9번지 일대의 웅천읍성. / 김구연 기자

임진왜란 때는 고시니 유끼나가(小西行長)가 이곳에 머물기도 했고 일본왜성의 부속성으로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조선군의 대일본 방어의 최일선 기지 역할을 수행했다고 합니다.

성벽 주변에는 해자가 설치되어 있고 해자를 건너다닐 수 있는 나무다리가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해자 바닥에는 적이 넘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나무말뚝이 설치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웅천읍성은 현재 경상남도 기념물 제15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습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