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속 경남-경남의 섬]해방 이후부터 다시 주민 거주 전등소 관사·탄약고 등 보존

거제 지심도는 '동백섬'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한편으로는 '일제 군사시설 유적의 섬'이라 할 만하다. 일제는 중국 침략을 위해 지심도 군사기지 계획을 세웠다. 10여 가구 되던 주민은 강제로 쫓겨났다. 1936년 100여 명 규모 포대가 들어섰다.

그 흔적은 지금도 고스란히 남아 있다. 둥근 콘크리트 구조물인 포진지 4곳은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다. 탄약·포탄을 보관하던 지하 벙커식 탄약고는 4개의 방으로 이뤄져 있다. 벽면 군데군데 있는 관광객 낙서가 아이러니하게 다가온다. 욱일기 게양대에는 지금 태극기가 대신 달려 있다. 그 외 일본군 서치라이트 보관소, 일본군 방향지시석도 당시 상황을 상상하게끔 한다.

일본군 전등소 관사는 적산가옥 형태를 잘 간직하고 있다. 부대 막사, 식당, 중대장 관사였던 곳은 민박집으로 이용되고 있다.

국방부 소유인 지심도는 2016년 6월 거제시로 완전 이전된다고 한다.

지심도에서 가장 오래 살았다는 박계아 할머니. /남석형 기자

15가구 되는 지심도에서 가장 오랫동안 살았다는 박계아(80) 할머니를 만났다.

"해방 이후 사람들이 다시 띄엄띄엄 들어왔는데, 들어온 순서대로 좋은 집을 차지했겠지. 지금도 100년 된 일본식 가옥 3~4채가 남아 있지. 우리집은 예전에 일본군 전기발전소 창고로 쓰였던 곳이야. 시아버지가 여기 들어와서는 방으로 개조했고, 집 대문은 우리집 양반이 만들었고. 나는 거제 장승포 살다가 6·25전쟁 막 끝나고 여기로 시집왔거든. 전기도 없고 물도 없었어. 막막해서 울기도 많이 울었고."

적산가옥 형태의 일본군 전등소 관사. /남석형 기자

박 할머니는 이곳에서 벌어진 많은 일을 기억하고 있다.

"언젠가 한번은 미군 헬기가 불시착해서 마을 보리밭이 쑥대밭이 됐어. 섬사람들은 또 헬기 구경한다고 우르르 몰려나왔지. 미군이 뭐라 뭐라 하는데 알아들을 수 있나. 아마도 '미안하다' 그런 말이었겠지. 그러고는 그냥 가버리데. 보리밭 주인은 농사 망친 거지만 누구한테 말도 못하는 거고."

일본 사람들과 관련한 기억도 전했다.

"여기서 근무했던 일본 군인이었던가 봐. 그 사람이 죽으면서 지심도 앞바다에 뿌려달라고 유언을 한 거지. 자식들이 유해를 지심도에 들고와서는 뿌리고 간 적이 있어. 지금도 일본 군사기지 보러 일본 관광객들이 많이 와. 학자들, 공부하는 학생들도 오기도 하고. 지심도가 그런 걸로도 이름 나긴 났나봐."

그 옛날 일본 군인들이 내려다보던 바다를 박 할머니는 쳐다보고 있었다. 할머니는 "이렇게 있으면 마음이 탁 트이기는 하는데, 우울한 마음도 많이 들어"라고 했다.

동백철 아닌 평일 지심도는 관광객이 많지 않다. 파도·바람 소리 느끼기 더없이 좋다. 70~80여 년 전 일본 군인들 마음에는 여기 섬 소리가 어떻게 다가왔을까?

원형이 잘 유지돼 있는 포진지. /남석형 기자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