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이후 퇴행성 변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척추 안의 신경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해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척추관협착증이라고 하는데, 발생 부위에 따라 경추관협착증(목부분)과 요추관협착증(허리부분)으로 나뉜다. 

요추관협착증이 보다 빈번하게 발생하지만 최근 컴퓨터와 스마트 기기의 사용 증가로 경추관협착증도 늘고 있다. 경추관협착증은 목디스크와 초기 증상이 비슷해 일반인은 쉽게 구분하기 어렵다. 경추관협착증은 경추부분에 발생한 척추관 협착증을 말하며 목디스크가 이상 증상이 곧바로 나타나는 것에 비해 경추관 협착증은 서서히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초기에는 주로 목과 주변부, 양팔의 통증, 양팔의 운동능력 저하와 감각이상 등이 나타나다가 발전되면 목과 어깨에서 느껴지는 통증뿐 아니라 보행장애, 다리의 통증, 근력저하, 그리고 배뇨장애, 하반신 마비와 같은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무리한 운동은 젊은 나이에 척추 노화를 불러오는 원인

경추관협착증은 노화로 인한 퇴행 때문에 일어나는 경우가 많지만, 최근 젊은 층에서도 빠르게 늘고 있다. 척추의 사용 횟수가 잦으면 노화가 빨리 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최근 근육질 몸매 열풍 때문에 단기간에 무리하게 운동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무리한 운동은 젊은 나이에 척추 노화를 불러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오래 사용하면서 목을 굽히거나 일자를 유지하고 있는 사람들이 늘면서 경추관협착증 환자도 증가하고 있다.

통증, 감각저하, 근력약화의 증상

경추관협착증은 감각 신경이 압박을 받으면 팔이나 손의 감각이 남의 살처럼 둔해질 수 있고 몸통이나 다리로 가는 신경이 압박을 받으면 몸통이나 다리의 감각이 둔해질 수 있다. 또한 눈을 감고 있는 경우 팔을 들어 올렸는지 내렸는지 모를 수도 있다. 팔이나 손가락에 힘이 빠지며 다리가 뻣뻣해지고 힘이 약해져 제대로 걷기 힘들 수 있다. 방광의 신경이 압박되면 소변을 보는데 문제가 생기며 항문 괄약근의 신경이 압박되면 대변을 보는데 장애가 생긴다.

정확한 진단 원한다면 MRI 촬영 필요해

20150419010035.jpeg

경추관협착증은 간단하게 X-ray 촬영을 통해서도 진단이 가능한데 좀 더 정확한 방법으로는 MRI촬영이 있다. 초기에는 보조기착용, 찜질등 열치료, 초음파치료, 마사지 등의 물리치료와 소염진통제나 근육이완제 등의 약물치료 등 보존적 치료가 우선이다. 보존적 치료로 증상의 호전이 없거나 처음부터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신경성형술, 고주파수핵감압술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만약 비수술적 치료를 했는데도 통증이 심해 일상생활이 어렵거나 현재 팔이나 다리에 마비가 온 경우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인공디스크 치환술이나 추간판부분절개술을 받는 경우가 가장 많다. 만약 협착증이 심한 경우에는 후방감압술 등으로 치료해야 한다.

올바른 생활습관과 바른 자세가 예방법

모든 척추 질환의 공통적인 예방법은 바른 자세이다. 책상에 앉을 때는 허리는 반듯이 펴서 등받이에 바짝 붙이고 고관절과 무릎의 각도는 90도 정도 유지되도록 한다. 컴퓨터를 볼 때 목을 앞으로 길게 빼는 습관이나 책상에 엎드려서 팔을 베고 자는 자세는 목 건강에 좋지 않으므로 고쳐야 한다. 더불어 운전이나 컴퓨터 작업 등 장시간 한 자세를 취해야 할 때는 한 시간마다 한 번씩 목 주변 근육을 풀어주는 스트레칭을 하면 도움이 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