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속 경남-마산 싸름]마산 출신 현역 최고령 박종일 선수 인터뷰

마산 출신(용마고-경남대)으로 현재 경기도 광주시청 소속인 박종일(39) 선수는 현역 최고령이다.

2005년 금강장사(당시 기장군청 소속)였으며 지난 2010년엔 설날장사씨름대회 금강·태백 통합장사전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언론에선 이를 기적에 가까운 일이라 평했다. 당시 그의 나이 35세는 씨름 선수로 환갑을 넘긴 나이였기 때문이다.

그로부터 4년이 흐른 2014년, 그는 아직도 가장 '뜨거운 현역'이다. 최근 제15회 증평인삼배 전국장사씨름대회에서 그는 용장급(90kg 이하) 1위를 차지했다.

지난달 26일, 경기도 광주의 합숙소 근처 카페에서 그를 만났다. 사진에서 본 모습보다 살이 많이 빠져 있었지만 단단해 보였다. 그는 여태 현역으로 활동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를 흔히 '장기전'이라 불리는 마산의 기술 씨름 덕이라 했다.

마산 출신으로 현역 최고령인 경기도 광주시청 소속 박종일 선수. /권범철 기자

- 만 39세, 현역 최고령이다. 사연이 궁금하다.

"부산 기장, 경기도 용인을 거쳐 태안으로 갔었다. 당시엔 지도자를 병행하는 조건이었다. 하지만 잘 안 됐다. 마산에서 훈련받던 방식으로 지도했는데 선수들이 소화하지 못했다. 그러던 중 광주시청 감독님이 불러주셨다. 본격적인 현역생활을 위해 다시 몸을 만들어야 했다. 독하게 했다. 100kg 나가던 몸이 지금은 87kg이다."

- 그 과정이 쉽지 않았을 것이다.

"(몸을 만드는 일이)처음엔 힘들었다. 하지만 그보다 힘들었던 건 마음이다. 대회를 나가면 후배들이 심판이다. 본부석에도 후배들이 있고 심지어 해설위원도 후배다. 그래서 처음엔 다 벗고 씨름팬츠만 입은 채 모래판에 오르는 것이 부끄러웠다. 본의 아니게 후배들이 욕하는 소리도 들었다. '저 선배는 나이 먹고 왜 저러나?' 하는 말을 화장실이나 식당에서 듣기도 했다. 그럴 때마다 아내의 응원이 도움이 됐다. 아파도 쉬지 않았다. 좋아하던 술도 거의 끊었다. 여기 감독님이 '너만큼 독한 놈 못 봤다'고까지 하신다. 하하!"

- 여전히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원동력은 무엇인가?

"마산에서 익힌 기술을 몸이 기억하고 있다. 그래서 처음부터 체력만 올리면 가능하다고 자신했다. 그게 마산씨름의 강점이다. 김성률, 황경수, 이만기 선배님들의 들배지기 기술로부터 이승삼 감독님의 '장기전' 기술을 배웠기에 가능한 일이다. 특히, 이승삼 감독님을 존경한다. 나는 대학에 입학하기까지 눈에 띄는 선수는 아니었다. 그러나 이 감독님께 배우면서 성장했다.

태도도 중요하다. 어린 시절 김성률 장군님이 '여기 이 마산의 씨름장 안에서 일등을 하지 못하면 어디서도 일등을 하지 못 한다'고 하신 말씀을 기억하고 있다. 마산에서 씨름을 하려면 독해질 수밖에 없었다. 여기서 이기는 것이 가장 힘들기 때문이다. 지금도 구토가 나올 정도로 훈련한다."

- 어려서부터 몸에 익었다는 마산의 기술씨름에 대해 좀 더 듣고 싶다.

"마산 출신들은 운동복이 아닌 평상복을 입으면 씨름선수인 줄 몰라보는 이들이 많았다. '저런 덩치로 무슨 씨름을 하나?'라고들 한다. 그럼에도 최고의 씨름인 이유는 바로 기술이 다르기 때문이다. '장기전'이라 부르는 기술이 그것이다. 타 지역에선 이걸 시간을 끌기 위한 '지저분한 씨름'이라 깎아 내리고 있지만 모르고 하는 소리다. 장기전에서의 시간은 기술을 걸기 위한 시간이다. 우리는 일단 (샅바에서)손을 빼기만 하면 이길 확률이 70~80%다. 공격을 위한 장기전이기 때문에 각자 자기 몸에 맞는 기술을 개발한다. 그러니 상대 선수는 골치가 아플 수밖에 없다."

- 그렇다면 박종일 선수만의 기술이 있다면?

"내 씨름의 특징은 '쉽게 하지 말자'로 정리할 수 있다. 기술을 거는 데 있어 편안함을 알기 시작하면 씨름 선수로 끝이라고 생각한다. '끌어치기'라고 있다. 이는 '뒤집기' 기술을 거는 척하다 들어가는 기술인데, 나는 그걸 권장하지 않는다. 씨름은 어렵게 해야 한다. 다만 자기 체형에 맞는 기술을 끊임없이 연구해야 한다. 겉핥기 식으로 해선 절대 이길 수 없다."

- 그런 태도도 마산씨름의 전통이라고 볼 수 있을까?

"기술로 답을 찾기 위해선 게을러선 절대 안 된다. 힘으로 하는 씨름은 힘 떨어지면 끝이다. 때문에 선수 생명도 짧아지는 것이다. 김성률 장군님은 50이 넘어서도 (직접 샅바를 매고)씨름을 잡아 주셨다. 이승삼 감독님도 마찬가지다. (타 지역엔)그런 분들이 없다. 그만큼 마산은 선수 생명이 길다. 구미시청 소속인 이창훈(38) 선수도 마산 출신인데 7년 공백을 깨고 복귀해서 잘 하더라."

- 마산을 떠나 선수생활을 계속하는 이유가 있는가?

"포장마차 하는 분도 '장사' 한 번은 해봤다는 곳이 마산이다. 장사 10번은 해야 마산에서 인정받는다는 말도 있다. 그만큼 씨름이 강한 곳이니 내가 있을 자리는 없었다. 운동을 하기 위해선 떠날 수밖에 없었다. 운동 그만두라는 말도 많이 들었다. 몸도 안 아픈 곳이 없다. 하지만 나이 먹어도 얼마든지 할 수 있다는 것을 지금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지금은 하루하루가 행복하다. 후배들을 이겨야겠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쉽게 지고 싶지는 않다. 씨름을 직업으로 삼는 사람으로 끝까지 최선을 다하고 싶다."

- 앞으로 계획이 있다면?

"다른 인기 종목에 비해 씨름계는 유소년에 대한 투자가 인색하다. 그래서 언젠가는 씨름학교를 만들고 싶다. 거창하게 하지 않아도 된다. 조그만 시골 분교를 빌려서라도 하고 싶다. 그게 '씨름인'으로 나의 마지막 목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