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잡이부터 손질까지…작업이 곧 생활

통영 추도에는 물메기 작업장이 따로 있는 게 아니다. 생활공간이 곧 작업장이다. 추도 주민 윤성구(65) 씨가 집으로 안내했다. 문을 열고 들어가자 한 노인이 대나무통발을 손질하고 있었다. 인사를 드려도 아무 반응 없이 일에 열중하고 있었다. 윤 씨는 "내 아버지인데, 귀가 좀 어두우셔"라고 했다. 그러면서 "50년 넘게 물메기잡이를 하셨지. 이제 고기잡이는 나가지 못하지만, 그래도 어구 손질은 해 주시지"라고 했다.

윤 씨는 이런 아버지와 함께 중학교 때부터 물메기 일을 했다. 스무 살 이후에는 외지 나가 꽃게 냉동선을 하다 13년 전 고향으로 돌아왔다. 이때는 전복을 키우기 위해서였는데, 4~5년 정도 돈을 꽤 벌었지만, 바이러스 피해로 완전히 손들고 말았다. 돌고 돌아 결국 다시 아버지와 함께 물메기잡이를 이어갔다.

철 되면 새벽 4시께 조업에 나서 낮 12시께 돌아오는 생활을 반복한다. 어머니·아내는 물메기 손질을, 아버지는 어구 관리 등 온 가족이 물메기에 달라붙는다.

"이렇게 물메기만 해도 4명 먹고 살 수 있지. 잡는 방법은 예나 지금이나 똑같이 대나무통발이지. 추도에서는 35cm 안 되는 놈들은 그냥 놓아주는데 요즘 권현망 어선이 바닥을 끌고 가면서 물고기를 싹쓸이하는 것뿐만 아니라, 어망을 망치기도 해."

윤성구 씨가 집 앞 마당에서 추도 건메기와 어구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권범철 기자 kwonbch@

추도 물메기가 널리 알려지다 보니 이런저런 이야기도 흘러나온다고 한다.

"추도 건메기는 다른 곳보다 특히 뽀얗잖아. 그러다 보니 다른 지역에서는 오해를 하기도 해. 세제를 써서 이렇게 하얗게 만든다나 어쩐다나…. 피를 잘 뽑고 좋은 물로 잘 씻어서 그런 건데, 말도 안 되는 이야기지. 또 중국산을 쓰는 것 아니냐고 음해하기도 해. 추도 앞바다에 보면 입항 절차를 기다리는 중국선이 떠 있는데, 그걸 보고 또 그렇게 생각하는 거지. 뭐 추도 물메기가 하도 좋다 보니 별별 이야기를 다 하는가 봐."

윤 씨는 건메기를 택배로 판매한다. 하지만 유통과정에서 늘 골칫거리가 있었다. 물메기는 말 그대로 '물'을 많이 품고 있다. 바짝 건조해도 그 안에는 수분이 남아있다. 그래서 유통과정이 길어지면 눅눅해져 맛이 떨어지는 일이 많았다. 연구 끝에 자신만의 상자를 만들었다. 종이상자 바깥에 구멍을 뚫어 통풍되도록 했고, 안에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한지를 중간중간에 깔았다. 윤 씨는 추도 어촌계장을 맡고 있지만 별 바람은 없다.

"공기 좋고 물 좋은 이곳에서, 물메기 잡아가며 지금처럼만 살면 되지 뭐."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