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현식 의료법인 창원센텀병원 정형외과 병원장·의학박사

평소 주말을 이용해 인근 교외 산을 오른다는 김모씨(47세). 얼마 전 여느 때와 다름없이 산을 오르다, 비로 인해 미끄러운 경사 흙 길에서 미끄러져 무릎에 통증을 느껴 병원을 방문했다. 진단결과 무릎 연골판이 크게 손상되어 현재 치료를 받고 있다.

이 사례에서 보듯이 날씨가 선선해지면서 가을 산행을 즐기다 무릎 연골판이 손상되어 내원하는 환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연골판은 복원력을 갖고 있지 않아

무릎부위를 구성하는 신체의 일부 중에 하나인 반월상연골판은 허벅지에서 종아리로 체중이 전달될 때 무릎의 연골에 그 힘이 골고루 전달되도록 충격을 흡수 하여 몸의 균형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관 중 하나다. 연골판은 한번 손상을 입으면 재생이 거의 힘들고, 심하게 손상되어 제 기능을 못하게 되면, 상시적인 무릎통증과 부종은 물론, 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으로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문현식 의료법인 창원센텀병원 정형외과 병원장·의학박사

반월상연골판이 손상된 경우 가능하다면 관절내시경을 통한 봉합, 복원하는 시술을 시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연골판의 경우 혈관 분포가 없는 부분이 많고 연골판 자체가 복원력을 갖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대개는 부분 절제술을 하여 정상적인 연골판을 살려두는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그러나 파열이 광범위하고 봉합이 불가능할 경우 부득이 전절제술을 해야 한다.

이럴 경우, 무릎의 완충 역할을 해야 할 연골판이 없어져 무릎 통증과 부종이 자주 발생하고, 심지어 젊은 나이에 퇴행성 관절염을 앓게 될 수도 있다. 대표적인 증상은 무릎이 쑤시는 통증이다. 급성기에는 관절 내 출혈, 삼출액의 증가로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연골판 복원시키는 반월상연골판 동종이식술

MRI 등의 검사를 통해 반월상 연골의 파열이 진단되면 일단 약이나 물리치료를 통한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를 시행하며, 이 방법으로 호전이 되지 않으면 관절경을 이용해 찢어진 반월상연골판을 특수한 방법을 통해 다시 꿰매주는 봉합, 재건술을 시행하거나 손상된 반월상 연골판의 일부만을 절제하여 무릎 관절이 서로 걸리지 않게 해주는 부분절제술을 우선 시행한다. 하지만, 반월상연골판의 손상 정도가 심한 경우 봉합, 재건술이나 부분절제술로도 해결이 되지 않을 때 시행하는 것이 바로 반월상연골판 동종이식술이다.

반월상 연골판 동종이식술은 무릎에 이식물이 들어갈 통로를 만든 후, 영하 135도에서 보관된 특수 처리된 연골판 동종 이식물 무릎 결손 부위에 착상, 교정하는 고난이도 시술로서, 외상이나 부상으로 인해 광범위한 연골판 손상을 입거나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와 이전에 연골판 손상으로 부분절제술이나 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중 초기 퇴행성 관절염이 진행된 환자의 경우 시행하면 높은 치료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흔히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무릎 치료의 마지막 보루로 일반인들이 인공관절치환술을 언급하듯, 재생과 복원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연골판 손상에 대한 치료에 있어 가장 진일보한 치료법이 반월상연골판 동종이식술이다. 연골판 손상 환자의 개인별 질환 정도와 부위, 연령 등을 고려하여 진행되는 고난이도의 수술이기 때문에 반드시 임상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에게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