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삼에 버금가는 전설적인 약초

연휴를 틈타 잠시간의 휴가를 다녀왔습니다. 콩밭에 쇠비름 매러 가자고 동생들을 부추겨 시골집에 모였는데요. 연례행사처럼 어린 조카들과 까마중 열매 따러 다니고 콩밭에 무성한 쇠비름 한 아름 해다가 무쳐먹고 비벼먹고도 남아서 봉지 봉지 싸서 도시로들 들고 왔습니다.

   
정자나무아래 모인 노인들께도 쇠비름 이야기를 나누며 옛날 약초 캐던 시절의 무용담을 들었습니다. 할아버지 살아 계실 적에 전설처럼 들어 왔던 산삼 이야기는 아직도 돌고 있지만 아직 캤다는 사람은 없었다는데요. 할아버지가 황매산 깊숙한 곳에서 거울(풀·꼴)을 베어왔는데 그 곳에 산삼 잎이 가득 있어서 몇 해를 걸쳐 그 주변을 샅샅이 뒤졌지만 다시는 볼 수 없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속단이나 박새를 캐다가 약을 잘 못 써서 병을 더 깊게 했다는 이웃 동네 약초꾼 이야기, 옛날의 그 많던 약초들이 다 사라졌다는 이야기로 꽃을 피우다가 다시 할아버지 이야기로 돌아갑니다. 힘이 장군이셨던 할아버지는 칠순이 넘어서도 키보다 높은 나뭇짐을 거뜬히 해 오셨는데요.

그 비결이 황매산 깊은 숲에 풀 베러 가셨다가 캐서 드셨다는 큰 더덕 뿌리만한 ‘지캄때문이라고 합니다. 큰 지치를 한 뿌리 뽑아서 반쯤 먹었는데 취해서 잠이 들어 깨어보니 밤이어서 겨우 돌아 왔는데 그 후부터 감기 한 번 않고 건강하게 사시다가 팔순 넘어 장수하셨다는 이야기입니다.

칠순 어르신 근력 비결 냉증 등 부인병에 좋아

지칫과의 여러해살이 풀인 이 지치는 약초꾼에게 산삼에 버금가는 전설적인 약초로 알려져 있습니다. 온갖 독을 제하고 살결을 곱게 하여 늙지도 않게 하는 신선이 먹는 약초라는 신비의 영약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지초’·‘주캄라고도 하고 산 속 깊은 곳 양지쪽에서 자라며, 줄기와 잎 모양이 흡사 참깨와 닮았고 5~6월에서부터 7~8월까지 작고 흰 꽃이 피어납니다.

뿌리가 보랏빛을 띤다 하여 ‘자초’·‘자근’으로도 불리는데 땅 속 깊이 곧게 박혀서 자라며 오래된 것일수록 그 보랏빛이 선명하고 약효가 큽니다. 뿌리가 갖고 있는 열기 성분이 강해서 겨울에 눈이 내려앉으면 그 주위가 붉게 물든다는데요. 그래서 눈이 녹기 전 이른 봄이면 약초꾼들은 지치를 캐러 산을 오른답니다. 풀 주위를 붉게 물들이며 녹아 있는 곳을 찾기 쉽기 때문이지요!

어릴 때에 전설처럼 지치 이야기를 들으면서 겨울 눈 녹기 전에 꼭 한번 가보리라 계획 했었는데 못가고 만 것이 못내 아쉬운데요. 이제는 숲이 짙어서 어르신들도 찾아 나서기 힘든 그야말로 신비의 영약이 되고 말았답니다.

요즘은 가끔 인공재배를 하기도 하는데 사람의 땀 기운이나 냄새가 닿으면 이내 썩어버려서 성공률이 낮고 또 10년 이하의 것은 약효가 별로 없어서 물감 만드는 염료로 쓰이는 정도라는데요.

야생 지치는 부인병에 특히 좋은데요, 냉증·대하·생리불순 등에 특효가 있으며 피부를 곱게 하고 비만증을 치료해준다고 합니다. 또 열을 내리고 독을 풀어주며 염증을 없애고 새살을 돋게 하는가 하면 각종 암을 제하고 그 후유증을 없게 하며 중금속이나 농약·알코올 중독을 풀어주는 특효도 있다고 합니다.

마을 어른들과 말로 다 열거할 수 없는 신비의 영약 지치 이야기를 나누며 이미 전설이 되어 버린 산 속의 약초와 할아버지가 가슴 뭉클하게 그리워집니다.

황매산 깊숙한 어느 곳에서 해마다 제철이 되면 수십년 된 지치가 자라는 그 곳에 할아버지가 거닐고 계실 것 같은 상상을 하며 먼 산을 올려다봅니다. 올 겨울에는 기어이 저 산을 누비며 지치의 붉은 열기와 만나 보리라 다짐해봅니다. 둥실 뜬 반달이 물끄러미 흘러갔습니다.

/숲해설가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