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칠서 지점 경보 '관심'
"독성물질, 농작물에까지 영향"
전문가, 정부 선제 대응 촉구

함안군 칠북면 이령리, 창녕함안보 상류 300m 지점 수온은 지난달부터 20도를 웃돌았다. 나머지 낙동강 하류 물환경 정보 측정지점인 함안군 칠서면 계내리 남지교, 함안군 대산면 장암리 거룡강수위국 수온 정보도 마찬가지.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지난 16일 오후 3시 기준 낙동강 칠서 지점에 조류경보 관심 단계를 내렸다. 현재 낙동강 조류 경보지점인 강정·고령, 물금·매리, 칠서, 해평 모두 관심 단계다.

지난 17일 찾은 낙동강 하류에는 연례손님인 녹조 기운이 눈에도 드러났다. 먼 거리에서 봐도 낙동강 하류는 옅은 녹색 빛을 띠었다. 수위가 낮아서인지 물 흐름이 끊긴 보 좌안 수로형 어도(아이스하버식 어도)에는 녹조가 끼었다.

창녕함안보에서 물길을 거슬러 올라 들른 함안군 칠서면 계내리 계내1배수문 아래에는 녹조가 가득했다. 만처럼 굴곡이 있어 물 흐름이 멈추다시피 한 데라, 녹조가 끼는 것이 오히려 당연하다는 듯한 인상마저 주었다.

더 상류인 박진교 인근 사정은 더욱 심각했다. 육안으로도 강 군데군데 녹조 알갱이가 떠다니고, 물가는 녹조 현상이 짙었다. 강 사정을 잘 아는 인근 주민은 조류경보가 내려진 시기는 지난해와 비슷하지만 녹조 물빛이 더 짙어 오래 더 심화하지 않을까 우려했다.

▲ 18일 창원시 의창구 동읍 본포취수장 인근 낙동강 구간이 녹조로 뒤덮여 있다.  /경남시민환경연구소
▲ 18일 창원시 의창구 동읍 본포취수장 인근 낙동강 구간이 녹조로 뒤덮여 있다. /경남시민환경연구소

녹조는 남조류 과다 성장으로 물 색깔이 짙은 녹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일부 남조류는 냄새물질이나 마이크로시스틴과 같은 독소를 생성한다. 문제는 녹조 현상이 일상화했다는 점이다. 게다가 낙동강 물로 기른 무와 배추에서도 녹조 독성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근심을 키우고 있다.

전문가는 물이 한자리에 머물며 그치는 현 상황에서는 큰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박창근 가톨릭관동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는 "기상조건에 따라 시기가 빨라지고 늦어지는 차이일 뿐 녹조 현상은 일상화했다"고 진단했다. 박 교수는 수자원공학 전문가다.

그는 코로나19 대유행에 빗대 "일상화했다는 점에서는 같으나, 코로나19와는 달리 녹조는 조절할 수 있다"며 "독성물질이 농작물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등 위험성이 분명히 밝혀졌는데도 정부는 선제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질소나 인 등 여러 오염물질이 물길로 흘러들면 플랑크톤이 비정상적으로 늘어 부영양화를 일으킨다. 더불어 강한 햇빛과 높아진 수온, 특히 물순환이 정체하면 남조류가 성장하기 좋아 녹조 현상이 일어난다.

박 교수는 "녹조를 일으키는 원인은 크게 오염물질, 기상 조건, 물 정체인데 오염물질을 막는 데는 한계가 있고 기상조건을 조절하는 것도 마찬가지"라면서 물을 흘려야만 일상화한 녹조 현상을 잡는다고 주장했다.

실제 보를 열면 수위가 낮아지고 물흐름이 빨라져서 녹조나 퇴적물, 저층 빈산소 현상에 영향을 미친다.

2021년도 4대 강 보 개방 모니터링 종합분석 결과, 보 개방으로 물흐름 체류시간은 18~88% 줄고, 유속은 18~813% 빨라졌다. 4대 강 16개 보 가운데 14개 보 최대개방 기준으로 모래톱은 축구장 면적 723배인 5.163㎢, 수변공간은 축구장 면적 1090배인 14.927㎢ 늘었다.

특히, 개방 폭이 큰 보 구간을 중심으로 녹조가 줄곧 주는 경향을 나타냈다. 예년과 6~9월 평균기온이나 강수량이 비슷했던 지난해 낙동강 녹조는 40% 줄었다.

한편, 환경부는 지난 15일 충남 공주지역 가뭄에 대응하고자 공주보 수위를 높인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공주보 수위를 높였을 때 수혜 면적은 공주시 경지면적 1%에도 못 미치고, 비가 계속 내리지 않으면 이달 20일 이후 정안천 상류 저수지 저수량이 40% 이하로 떨어진다는 우려도 뒤집으면 지금은 40% 이상으로 잘 대응한다는 뜻"이라며 "법정 홍수기가 시작되는 이달 21일 즈음 장마가 시작되는 터라 수문을 닫지 않아도 대응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즉, 농업용수 공급 논리를 앞세운 보 담수 결정보다는 합리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환석 기자 che@idomin.com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