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권자가 고령화되면서, 정치인도 고령층 유권자 표심잡기에 주력하고 있다. 대한민국 정치가 보수화된다는 뜻이다. 제도적으로는 선거권자와 피선거권자 연령을 18세로 하향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비례대표 비율, 다인 선거구수, 정당의 청년후보자 공천 비율을 축소했다. 정당들은 내부적으로 45세 이하를 청년이라고 주장하면서 청년 후보를 과대포장하기도 하지만, 만일 청년기본법에서 규정하는 34세 이하를 청년으로 규정한다면, 경남의 지방선거 청년 출마자는 3% 미만으로 하락한다.

청년은 교육 기회 불공정, 고용불안, 주거와 육아불안을 해결할 정책을 원하고 있다. 그럼에도, 교육 기회 불공정을 해소할 정책을 내세우는 정당과 후보는 없다. 고용불안 해결을 위해 직업능력 향상, 고용을 최우선으로 하는 경제정책을 내세우는 정치인은 없다. 부모 자산 세습을 차단하고, 개인 능력을 우선시하는 정책을 내세우는 후보는 드물다.

청년은 지식정보와 AI 스피커에 익숙한 세대이며, 이를 기반으로 미래 사회를 기획할 능력이 탁월하다. 미래 사회는 결국 지식 정보와 AI에 적응하느냐에 따라 기업 취업기회, 산업 발전, 지역 매력이 결정된다. 정치에서 청년의 등장은 미래 사회변화에 적응할 주체의 형성을 의미한다.

경남지역은 세종, 광주, 경기 지역에 비해 노령화된 유권자 층을 갖고 있다. 노령층 유권자의 보수적인 정치성향은 산업 경제발전에도 족쇄가 되고 있다. 디지털 사회로의 진입을 더디게 함으로써 기업 유치, 인력양성, 쾌적한 지역경쟁력 향상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청년이 미래 사회의 주력이 될 것을 인정한다면, 유권자들은 세대 간 혐오와 적대감을 조장하는 후보들을 가려야 한다. 청년 친화적 정치는 공정한 사회, 고용을 중시하는 사회, 특권 세습보다는 개인 능력을 중시하는 사회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6월 1일 지방선거에서 청년들이 정치 주력으로 등장하고, 청년친화적 정책을 표방하는 정치인을 가려서 투표해야 한다. 청년의 미래가 곧 경남의 미래이기에 그렇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