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시계 멈춘 경남도·선도해온 교육청
도민 초록복지행복 혜택 위해 힘 모으길

기후변화 교육 필요성에 공감하는 흐름이 국제사회로 퍼지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을 정규 교과 과정에 편성하는 시도가 잇따르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환경 교육을 헌법 조항에까지 포함했다. 이상 고온 현상과 가뭄, 홍수·산불 등이 세계 곳곳에서 발생하면서 기후변화 위험에 대한 경각심이 커진 데 따른 것이다.

지난달 칼럼에서 도지사 후보는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방안을 선거 공약으로 도민들에게 제시하고 그 실행계획을 구체적으로 만들어가기를 원했다. 그러나 필자가 기대했던 경남지역의 훌륭한 자연자산인 낙동강과 남해안 등 습지와 야생동식물을 바탕으로 한 생물다양성 증진과 그 실천 방안으로 기후위기와 탄소중립사회로 나아가는 데 공약이 부족하여 아쉬움이 많았다. 이미 경상남도처럼 람사르협약총회를 함께 개최한 호주는 습지의 맹그로브 같은 야생식물이 탄소중립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과학적 데이터를 준비하면서 미래 사회를 준비하고 있다.

이번 환경칼럼에서는 미래 세대를 위한 학교현장에서 기후위기 대응 교육은 어떻게 제시하고 행동할 것인가를 경남교육감 후보에게도 제안하고자 한다. 사실 그동안 경상남도는 2008년 람사르협약총회를 창원에서 개최하면서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습지보전과 현명한 이용에서 선진적 지자체였다. 그러나 도지사가 바뀌면서 환경시계가 일시적으로 멈추었다. 반면에 2008년 10차 람사르총회 창원 개최를 계기로 경남교육청은 우포생태교육원을 설립해 습지교육을 시작하는 등 학교, 지역사회, 국제사회와 협력하여 지금도 국내외 습지교육을 선도할 만큼 발전하였다.

실제로 2005년을 전후해 경상남도와 창원시, 민간환경단체 등이 주도하여 지구적 환경과제를 해결하는 데 낙동강과 지리산, 남해안 습지를 활용하여 국제적 위상을 드높였다. '논습지결의안'을 국제회의에서 통과시키고, 경상남도람사르환경재단까지 만들어 지구적 과제를 해결할 장치도 만들었다. 일정 기간 도청 내 조직으로 습지계를 만들어 습지총량제와 습지보전실천계획을 수립하였지만, 습지계와 국제기구인 동아시아람사르센터까지 폐지하거나 다른 지자체로 넘겨버렸다. 공적 조직에서 이렇게 지속성이 떨어지는 정책을 한다면 도민들은 어떻게 생각하겠는가?

새로운 도지사가 부임하면 경상남도 습지정책에 대한 원상회복과 람사르총회 때 설계했던 미래계획을 민관이 협력하여 2008년 수준 이상으로 회복하기를 기대한다. 특히 지방선거가 끝나면 기후위기와 탄소중립에 대한 정책과 교육, 홍보 등 다양한 부분에서 경상남도와 경남교육청이 주체가 되어 기업을 포함한 이해당사자들의 원탁토론 자리를 마련하기를 권고한다. 낙동강 배후 습지 복원과 우포늪, 주남저수지, 화포천 습지 등을 묶어 낙동강습지벨트로 정부와 경상남도에 제안하여 현재 용역이 추진 중인 과제를 포함해 학교와 도민들이 평생교육 차원에서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함께해야 할 때다.

마침 올해 11월 중국에서 제14차 람사르협약총회가 열린다. 경남교육청 우포생태교육원은 2017년 두바이 총회에서 제안한 청소년을 위한 습지생태교육 결의안을 170개국과 공유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준비해 왔다. 경상남도람사르환경재단과 제주교육청 등 연대 기관 11곳과 3년 동안 준비하여 우리 정부가 개최국인 중국과 공동으로 14차 람사르협약총회에서 제안할 예정이다. 이렇게 지역 교육청이 국제협약에 명시할 습지환경교육을 정부 수준에서 국제회의를 통해 결의안 통과를 추진하는 경우는 세계 최초이다. 부디 이런 점을 제고하여 경남교육청과 경상남도가 기후위기시대에 도민과 미래 세대가 초록복지행복 혜택을 입도록 힘 모으기를 기대한다.

/이인식 우포자연학교 교장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