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1주일여 앞으로 다가왔다. 후보자들은 선거운동기간 전력을 다해 자신을 알리겠지만, 유권자는 선거별 어느 후보자가 출마했는지도 알지 못하는 '깜깜이 선거' 속에 혼란을 느낄 우려가 있다. 그런 점에서 유권자 알권리를 충족하고 후보자 자질과 공약을 비교·검증할 수 있는 선거방송토론 효과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최초 선거방송TV토론은 1995년 서울시장선거토론회였으나, 방송사 자율로 후보자를 초청하고 주제를 선정하다보니 편파성 시비가 끊이지 않았다. 이후 1997년 공영방송사에 대통령선거방송토론위원회가 한시적으로 설립되고, 2004년 3월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가 독립 상설기구로 창설돼 각종 공직선거에서 TV토론회가 법정화됐다. 경남에서는 2000년 3월 '바른선거를 위한 창원시민모임'과 '경남방송' 공동주관으로 국회의원선거 창원을선거구 후보자초청토론회를 최초로 개최했다. 방송토론은 후보자 입장에서 지지층 마음을 견고하게 확인하고, 부동층을 흡수할 수 있는 기회다. 주민 삶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정책을 함께 논의하고 비판하는 토론 과정은 향후 사회적 합의를 이끄는 중요한 수단으로 민주주의 발전의 동력이 된다.

선거방송토론위원회는 선거운동기간부터 사전투표일 전일까지 8일간 선거토론주간(5월 19~26일)을 마련해 지방자치단체장 및 교육감선거 후보자토론회를 한다. 토론회 일정은 시·도선거방송토론위원회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고,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누리집·유튜브에서 '다시보기 서비스'를 통해 언제든지 시청할 수 있다.

공직선거에서 선거방송토론이 본격적으로 도입된 지 올해로 27년째이다. 1960년대부터 TV토론을 했던 미국과 프랑스 등의 토론문화와 단순비교할 수는 없겠지만 우리나라 토론문화는 어엿한 성년기에 돌입했다고 볼 수 있다. 방송토론이 아름다운 꽃을 피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유권자의 TV토론에 대한 관심과 높은 시청률이라는 거름이 전제돼야 한다. 후보자들도 유권자의 예리한 안목에 맞춰 지역현안을 두루 살피고 현실성 있는 정책·공약개발에 노력해야 한다.

대선에 연이어 선거를 치르면서 우리는 이미 충실한 유권자 의식을 갖추고 있다. 우리지역 대표자를 결정하기 위한 현명한 선택을 위해 적극적인 토론회 시청으로 지역 정치문화의 품격을 한 단계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