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연구원 활성화 방안 제시
농어촌·섬 많은 지역특성 고려
공동체가 이끄는 시스템 제안

경남에서 에너지 자립마을이 확산하려면, 지방정부 중심이 아니라 주민이 주도하고 여러 전문가와 기관이 이를 뒷받침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남연구원이 최근 <경남형 에너지 자립마을 어떻게 추진하나> 보고서를 냈다. '에너지 자립마을'은 외부에서 끌어오는 화석에너지 수요를 최소화하고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려는 마을을 뜻한다.

연구진은 농어촌 소도시가 있고, 섬이 많은 경남 특성을 고려한 에너지 자립 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짚었다.

특히 농어촌은 건물 난방, 농기계, 양식장, 선박 등으로 화석연료 의존도가 높은 편이고, 인구와 건축 밀도를 고려하면 마을 단위로 에너지 자립이 추진돼야 한다.

연구진은 농촌지역 에너지 자립마을 본보기로 독일 니더작센주 윤데마을을 소개했다. 150여 가구 마을은 바이오에너지를 활용해 기존 화석연료 사용을 줄였고, 생산된 전력을 팔면서 마을 수익도 거뒀다. 바이오에너지를 활용해 난방열과 전기를 100% 지급하게 됐다고 한다. 주민과 대학의 협업이 돋보였고, 주민이 참여해 의제를 결정하는 시스템도 구축했다. 사업은 협동조합 형식으로 추진됐고, 2002년 주민 70%가 여기에 가입했다.

또 섬형 에너지 자립마을 본보기로는 덴마크 삼쇠섬이 언급됐다. 인구 4000여 명으로 고령화 지역이었다. 1997년 덴마크 정부 신재생에너지 아이디어 경연대회에서 우수작으로 선정되면서 이곳 에너지 자립도 본궤도에 올랐다. 섬이라는 특성을 살려 풍력을 중심으로 태양열과 바이오매스 등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섬의 에너지 수요를 모두 충당하도록 했다. 육상 풍력발전기 11기(1㎿급)와 해상 풍력발전기 10기(2.3㎿급) 등을 설치했는데, 전체 풍력발전기 76%는 주민 또는 주민이 출자·투자한 회사가 소유하고 있다.

연구진은 30여 가구인 전북 부안군 등용마을 사례도 소개했다. 2003년 부안 핵폐기물 처리장 사건 이후 영광원자력발전소에서 생산하는 전력에 의존하지 않으려고 이곳 주민들은 신재생에너지 사용 논의를 시작했다. 주민들은 가정용 전기 70% 이상을 시민 햇빛발전소로 충당하게 됐으며, 이 사례를 계기로 전북도는 2015년부터 전북형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사업을 추진 중이다.

연구진은 이들 사례를 두고 "신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에너지 자급자족을 이뤄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 효과를 함께 거둬들이는 에너지경제 모델을 구축했다"며 "지역 주민이 한데 뭉치는 공동체 집적 효과가 강하게 나타난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