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지역 인구 감소가 가파르다. 지난해 경남 10개 군지역에서 9000명에 가까운 인구가 줄었다. 인구가 는 곳은 단 한 곳도 없었다. 이런 결과는 지방자치단체마다 지역소멸 대응에 온 힘을 쏟아온 터라 더 뼈아프다. 10개 군지역에 사는 인구는 도내 전체 인구의 14% 정도다. 인구 자연 감소와 유출은 계속되고 있다.

지역소멸은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성큼 다가오고 있다. 지난해 전국 228개 시군구 중 42%가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특히, 농촌지역은 대부분 소멸위험지역으로 포함돼 더 심각하다.

농촌소멸 문제는 해당 자치단체 문제로 끝나지 않는다. 농촌지역 소도시의 몰락은 연결고리처럼 광역지방자치단체 쇠퇴, 수도권 과밀화 문제와 직결돼 있다. 농촌소멸 문제가 단순한 농촌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차원의 재앙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다.

농촌소멸은 인구 감소뿐 아니라 일자리, 교육, 복지, 생활 등 다양한 이유에서 비롯된 문제다. 지역을 떠날 수밖에 없는 청년, 줄어드는 인구, 지역사회 고령화 등 현상적 문제와 더불어 농촌소멸 문제의 근본적 문제를 짚어야 하는 이유다. 강원도는 최근 18개 시군이 지역소멸 위기 공동 대응에 나섰다. 인구 감소 원인을 분석하고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고자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자치단체별 상황이 다른 현실에서 그 결과물에 관심이 쏠린다.

경남은 하나의 경제·생활 공동체를 표방하며 수도권에 대응하는 '부울경 메가시티'를 추진하고 있다. 국가 균형발전 핵심 전략으로 기대치가 크다.

이제는 농촌지역 소멸 대책에도 관심을 둬야 한다. 농촌소멸지역을 아우르는 특별지방자치단체라도 만들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