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소기업 가릴 것 없이 기업계 화두는 단연코 ESG(Environment·Social·Governance) 경영이다. 국제적으로는 물론 국내에서도 관련 지표에서 높은 등급을 받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대기업은 ESG 위원회를 설립하고 전문인력을 바탕으로 ESG 경영에 박차를 가한다. 중소기업은 녹색 기술 개발 등으로 동참에 나섰다.

기업이 ESG에 목매는 이유는 간단하다. ESG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각종 정부 공모사업 등에서 우대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소비자들도 어떤 제품을 구매할 때 기업의 ESG 경영을 척도로 삼고 있다. 가격이 더 비싸더라도 착한 기업의 제품을 사겠다는 심리가 커진 셈이다.

ESG 중요성이 날로 커지자 정부는 ESG 평가 기준을 제공하기 위해 중소기업형 ESG 체크리스트를 지난달 내놓았다. 이어 이달 대기업용 K-ESG 가이드를 제시했다.

분야별 세부 기준을 마련했다는 호평도 있지만,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 경영 관련 지표는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ESG 평가 기준에 협력업체 납품단가 인상 등 대·중소기업 간 공정거래 노력도 포함해야 한다는 게 중소기업계의 의견이다. 대기업 협력업체는 매해 대기업과 계약 과정에서 납품단가 인하 압박을 받으면 어쩔 수 없이 수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납품단가가 싸지면 협력업체는 단가를 맞추기 위해 저숙련 노동자를 현장에 투입하는 등 악순환이 반복된다.

국내 중소 제조기업의 40%는 대기업 협력업체다. 이들 협력업체의 대기업 매출 의존도는 80% 이상이다.

ESG 경영이 중소기업에 '규제'로 다가오지 않도록 상생 경영 관련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