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에서 기후변화로, 이제는 기후위기가 일상 언어로 자리 잡았다. 기후위기 책임은 미국과 유럽 선진국이 가장 크지만 피해는 인도, 방글라데시 같은 가난한 국가가 본다. 국가 내에서도 부자들이 가난한 사람보다 탄소배출을 많이 하지만 기후변화로 말미암은 피해는 가난한 사람이 더 크게 받는다.

국가인권위원회는 1일 기후위기와 인권에 관련한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자의 93.7%가 '기후위기가 심각하다'고 응답한 반면 기후위기가 인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52.1%만이 '인지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또 기후위기 피해 대상으로 농어민(47.5%), 경제적 취약계층(21.5%), 야외 노동자(14.0%)로 응답했다. 지난해 긴 장마로 벼 생산이 30% 감소했고 과일 피해도 컸다. 에어컨도 없는 방에서 홀로 사는 노인들이 폭염으로 사망하고 건설 노동자도 폭염으로 사망하는 사례도 많았다. 홍수로 집을 잃은 방글라데시 아이는 세차장에서 9시간씩 일을 해야만 한다. 취약계층이 먼저 기후위기 피해를 겪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정부는 기후위기 시대 피해자인 취약계층 대책을 당장 세워야 한다. 폭염 예보 때 홀로 사는 노인을 챙겨야 하고 기후변화로 말미암은 농어민 피해를 보상하는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 기후위기 대응 특별 부서를 신설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기후위기 피해자 대책은 오늘의 일이기 때문에 당장 시행해야 한다. 기후위기를 근원적으로 해결하는 것은 내일의 일이다.

세계 과학자 1만 3800여 명은 지난 7월 기후위기 지표를 발표하고 전 세계적인 공동대응을 요구하는 성명을 냈다. 기후시계는 지구 평균 온도 1.5도 상승에 필요한 탄소 배출시간이 7년 7개월 남았다고 알려준다. 이를 막는 방법은 화석연료 사용 중단과 에너지 전환밖에 없다. 그래서 석탄, 가스 발전 노동자 고용 대책이 시급하다.

전기 사용량에 따라 기후기금을 거둬 노동자 재취업 교육비용이나 생계비용으로 활용해야 한다. 물가불안, 경제 침체 등의 핑계는 기후위기 시대에 맞지 않다. 이미 유럽 선진국에서는 오래전부터 시행해 성과를 거두고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