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인구 통계를 보면 국민 80%가 25세 이상이고 2020년 합계 출산율은 0.84명으로 전 세계 198개국 중 198위다. 지난해 처음으로 사망자수가 출생자수를 넘어섰고 소멸 위험지역은 228개 시군구 중 105개에 이른다. 인구감소, 지역소멸, 초고령화 사회 임박 등 '3대 인구 위험'이 본격화됐다.

경남연구원은 지난 25일 <대학 입학자원 감소를 대하는 생각의 전환> 보고서를 냈는데 학령인구 감소 현상에 따른 대학 입학자원 감소가 '정해진 미래'라고 주장했다. 2030년이면 세계 대학 절반이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주장한 미래학자 토머스 프레이 말과 일맥상통한다. 특히 올해 경남지역 대학 신입생 충원율은 84%로 전국 89.5%와 수도권 92.3%보다 낮았고 전문대학(86.1%)은 전국·수도권 평균(84.4%)보다 약간 높았다. 경남의 18세 인구는 3만 3000여 명이었지만 2047년에는 2만 1000여 명으로 예상돼 올해 총 입학자(대학 1만 3474명, 전문대학 7760명) 기준으로 전원이 입학해야 겨우 정원을 채울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사회 변환기에 학과 통폐합이나 개편으로 입학 자원을 확대하는 대안은 한계가 있다고 진단하고 작은 비중을 차지하는 성인 학습자를 새로운 입학자원으로 설정할 것을 제안했다. 경남지역 30세 이상 대학생·전문대학생은 지난해 각각 2.41%, 5.35%(전국은 1.54%, 5.75%)에 불과하다. 미국은 30세 이상 대학생 비중이 20.2%로 한국보다 월등히 높다.

도내 대학과 전문대학 7곳이 성인 학위 취득과정을 운영하고 있지만 충원율이 저조하다. 우리 사회는 대전환 시대를 맞아 실직 위험에 처해 있는 노동자가 많다. 특히 경남의 석탄·가스발전 노동자, 원전 노동자, 내연기관 자동차 관련 노동자를 대상으로 경남의 대학과 전문대학이 재취업에 필요한 교육을 담당하도록 한다면 노동자 불안을 덜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고리1호기와 월성1호기 폐로를 위한 원전 폐로학과를 지역 대학에 신설하고 원전 노동자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면 일석이조 효과를 얻게 된다. 이 모든 과정에 정부와 지자체, 노동자와 기업이 함께 논의하고 결정하는 것은 당연한 절차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