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8개 조선사 규모 추정치
숙련자 이탈·청년층 외면 심화
정부 정책 지원 요구 커지지만
노동계, 열악한 처우 탓 비관적

'K조선'이 일감을 쓸어 담으며 업황 회복 뱃고동을 울리고 있지만, 내년부터 인력난이 본격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짙어지고 있다.

이에 선박 발주량·수주량 증가 등 다가올 호황기에 대비해 대형 조선사를 중심으로 숙련 인력과 청년층을 끌어들일 수 있는 인력 양성과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조선업 생산 직접직 인력 대비 향후 필요 인력' 자료에서 조선업 밀집 지역(부산·울산·경남·전남)을 중심으로 내년에 생산 분야 인력은 협력사를 포함해 최대 8000여 명 부족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현대삼호중공업, 현대미포조선, 케이조선(옛 STX조선해양), 대한조선, 대선조선 등 국내 주요 조선사 8곳의 올해 3월 말 기준 생산직 인력 규모(5만 4355명)에 견줘 분석한 전망치다.

산업부는 조선업 생산 분야 일손이 내년 1분기 3649명, 2분기 5828명, 3분기 8280명, 4분기 7513명 부족하리라 전망하고 있다.

현재 국내 조선업 종사자 수는 10만 명 밑으로 떨어졌다. 한때는 20만 명을 웃돌았으나 장기 불황에 따른 구조 조정 등으로 종사자 상당수가 이직하는 등 일터를 떠나 최근 7년 새 몸집이 반으로 줄었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자료를 보면 조선 인력(직영+사내 협력사)은 2014년(20만 3441명) 이후 사실상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다. 2015년 20만 2689명, 2016년 16만 7174명, 2017년 10만 9901명, 2018년 10만 2895명으로 감소했다. 2019년 10만 5118명으로 다소 늘었으나 지난해 9만 7428명으로 10만 명 아래로 내려갔고, 올해는 9월 기준 9만 2207명으로 줄었다.

반면 일감은 국내 조선 3사 모두 올해 수주 목표치를 조기에 달성하는 등 눈에 띄게 늘고 있다.

산업부 조선업 수주 실적 자료를 보면 올해 상반기 국내 수주량은 1088만CGT(표준선 환산 톤수)로 지난해 연간 수주량(811만CGT)보다 34.2% 많다. 특히 전년 같은 기간(132만CGT)과 비교하면 724% 증가한 규모다.

그동안 비었던 조선소 독(dock)이 꽉 찰 시기가 다가오는 셈이다. 하지만, 이대로라면 배를 지을 일손이 부족해 '인력 보릿고개'에 시달릴 우려가 커 정부의 대책 마련 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서일준(국민의힘·거제) 국회의원은 "세계 발주량 증가에 따라 국내 조선산업 시황이 회복기를 맞이하는 만큼 한국 조선업 성장과 발전을 위해 관련 사업 예산 증액 등 정부의 종합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선 업계와 관련 기관도 대응에 나섰다. 거제 한 대형 조선사 관계자는 "올해 수주 물량은 상선에 집중됐는데, 내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라며 "내년 생산 계획에 맞춰 인력을 충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조선 5사 사내협력사연합회는 16~17일 전남 목포에서 회의를 열어 인력 수급 방안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중소조선연구원은 생산 인력을 적기에 공급하고자 연말까지 조선업 생산 기술 인력 양성 채용 연계 교육을 추진한다.

인력 수급이 힘들 거란 관측도 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대우조선지회 관계자는 "조선업 임금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아져 노동자 상당수가 건설업 등 다른 직종으로 이직해 돌아오지 않으려 한다"며 "외국인 노동자들이 담당하던 직종에서도 인력이 빠지는 추세인데, 생산 물량이 증가하는 시기에 대체 인력을 구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9월 정부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내년까지 조선 인력 8000명을 양성하고 신규 인력 유입을 확대하는 K조선 재도약 전략을 내놨다. 그러나 조선 하청노동자 등 비정규직 중심 생산 체제를 벗어날 대책이 빠졌다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