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시민사회단체들이 깊은 고민에 빠져 있다. 지속가능성에 어려움을 겪지만 뾰족한 해법이 떠오르지 않기 때문이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다양한 영역에서 성장해온 경남 시민사회운동은 점점 노쇠하고 있다. 열악한 재정, 인재충원 장벽, 소모적 활동 쳇바퀴, 정치적 풍파 등 악순환이 쌓이다 보니 늪에 빠진 꼴이 되어버렸다.

특히 재정이 부실하니 활동가 처우는 민망할 정도다. 지난해 경남 공익활동가 조사에서 밝혀진 평균임금은 최저임금 이하다. 각종 수당이나 복지 혜택은 꿈도 못꾸고, 급여가 올라갈 여력이 안 보이니 장기 전망을 세우기 어렵다. 재정적 난국을 타개하려고 정부나 지자체 보조금 사업에 참여하지만 하면 할수록 소모적 행정업무에 지쳐 본래 목적의식은 퇴색하게 된다.

청년층이 마음은 있어도 몸이 안 따라주니 충원이 불안정할 수밖에 없고, 결과적으로 인적 자원에 빈틈이 생기게 마련이다. 지속성이 떨어지니 중간 지도력 양성은 불가능해졌다. 허리가 없으니 대표자들은 나이가 들어도 실무자와 별반 차이 없이 일을 하고, 청년 활동가는 고립무원 상태에서 분투하다 떠나게 된다.

뼈아픈 현실에도 시민운동에 헌신하는 활동가들은 가치와 희망을 품고 각자 영역에서 더 나은 세상을 만들려고 끊임없이 열정을 바치고 있다. 자립을 위해 모금에 뛰어들기도 하고 보다 일상적 실천에 어울리게 사업영역을 확장하기도 한다. 거대 담론 위주로 부문마다 성장한 시민운동에서 벗어나 탈중심 시민운동의 새로운 도전도 나타나고 있다.

지속가능성이 전국 최하위라는 점수는 경남 시민단체만의 책임이 아니다. 경남 시민사회와 지방정부 모두에게 내린 평가치다. 시민사회는 지역 종교기관, 교육기관, 언론기관, 기업체, 자원봉사단체 등이 보다 풍요롭고 따뜻한 지속가능사회를 만들고자 의지와 역량을 모으는 장이며, 지방정부는 이를 북돋을 의무가 있다. 시민단체가 설 땅이 좁다는 것은 시민사회가 부실하다는 뜻이요, 풀뿌리 민주주의가 약하다는 말이다. 해법은 역순으로 가면 된다. 시민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협치부터 강화하자.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