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35명→지난해 65명 호소
극단 선택·PTSD도 매년 확인
"정신적 외상 지원 인력 부족"

최근 5년 사이 우울증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겪는 경찰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 경찰 역시 마찬가지다.

27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이은주(정의당) 의원은 2016~2020년 경찰청, 18개 시도 경찰청과 지역 경찰서, 소속 기관의 경찰공무원이 우울증, PTSD, 정신과 보건일반상담 등 3개 특정 상병코드로 진료받은 인원수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의뢰해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이 기간 경남지역 경찰 소속 직장가입자 진료 인원은 △2016년 우울증(35명), PTSD(1명), 보건일반상담(7명) △2017년 우울증(34명), PTSD(1명), 보건일반상담(5명) △2018년 우울증(42명), PTSD(4명), 보건일반상담(8명) △2019년 우울증(63명), PTSD(3명), 보건일반상담(8명) △2020년 우울증(65명), PTSD(1명), 보건일반상담(19명)으로 나타났다. 5년 새 우울증 진료 인원은 2배가량, 보건일반상담 인원 역시 2~3배가량 증가했다. PTSD 호소 인원도 매년 확인되고 있다.

전국적으로도 2016년 777명이던 우울증 환자는 지난해 1123명으로 5년 새 44.5%가 늘었다. PTSD를 호소하는 경찰은 2016년 24명에서 2019년 46명으로 2배가량 증가했으며, 지난해 38명으로 다소 감소했다. 정신과 상담을 받은 경찰은 같은 기간 163명에서 214명으로 31%가 늘어났다.

또 이 기간 경찰 109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 들어 8개월간 극단적 선택을 한 경찰은 16명으로 집계됐다. 경찰청이 제출한 최근 5년(2016~2021년 8월) 본청과 시도청별 극단적 선택 경찰관 현황을 보면 2016년 27명, 2017년 22명, 2018년 16명, 2019년 20명, 2020년 24명이다.

경남은 2016년 1명, 2017년 4명, 2018년 1명, 2019년 2명, 지난해 4명과 올해 0명으로 모두 12명으로 확인됐다. 서울(24명), 경기남부(22명)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인원이다. 극단적 선택 원인에는 누적된 업무 부담, 음해성 익명 투서 이후 감찰 조사 등 직무와 관련한 스트레스도 포함돼 있었다. 이후 순직으로 승인된 사례도 있었다.

경찰은 업무 특수성으로 정신적인 외상에 쉽게 노출된다. 경찰청이 마음동행센터와 심리상담 지원 등으로 스트레스 관리를 하고 있지만, 보완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은주 의원은 "경찰청 복지지원계가 순직, 공상, 마음건강 등 경찰 복지와 관련한 지원 업무를 하는데, 그중 마음건강 분야는 경사 1명이 담당하고, 극단적 선택과 관련한 업무는 행정관 1명이 지원하고 있다"며 "전국 12만 명이 넘는 경찰공무원의 마음건강과 극단적 선택 예방을 담당하는 인력으로는 턱없이 부족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의원은 "극단적 선택 예방 대책을 재점검해야 한다"며 "경찰 특화 예방교육을 개발하고, 예방 인력 증원은 물론 수직·위계적 조직문화 혁신까지 갖춰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찰청은 2014년부터 경찰 트라우마 전문 치유를 위해 의료기관과 협약을 맺고, 병원 내 마음동행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내년부터 경찰청은 마음동행센터 상담 인력을 늘리고 민간 상담 지원을 확대하겠다며 올해보다 2억 7300만 원 증액한 39억 3400만 원을 예산으로 편성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