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계 목소리 높아…경남도 오늘 첫 포럼 열고 정책 방향 모색

앞으로 가야 유적 발굴은 고분에서 생활유적으로 옮겨가야 하고 성급한 복원·정비도 지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학계에서 나오고 있다.

경남도는 경남연구원과 함께 11일 오후 1시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제1회 가야 정책 포럼'을 개최한다. 주제는 '가치를 잇는 가야 역사문화 정책 방안 모색'이다.

도는 이번 포럼을 위해 학자·연구조사자·문화기획자 등으로 별도 운영위원회를 구성한 바 있다. 일회성 행사로 끝내는 게 아니라, 이 자리에서 나온 제언을 정책에 반영하겠다는 의지다.

포럼에서 김재홍 국민대 한국역사학과 교수는 '가야유적의 조사·연구 방향성'을 주제로 발표한다. 김 교수는 △가야 유적은 지금까지 많은 발굴 성과를 거뒀지만 '고분 조사'에 치우쳤기에, 이제는 생활 유적으로 발굴 범위를 넓혀야 한다는 점 △가야 소국은 하천을 통해 외부와 연결된 열린 사회였기에, 가야 해상 교류 통로를 연구할 필요성 등을 제기할 예정이다.

경남도는 지난해 '초광역 가야문화권 조성 기본계획'을 마련한 바 있다. 여기에는 권역별 주제를 설정했는데 △금관가야권(김해·양산·창원)은 전기 가야 정치·경제 중심지 △대가야권(거창·함양·산청·하동·고령 등)은 후기 가야 정치·경제 중심지 △아라가야권(함안·의령)은 남강과 함께하는 가야문화 중심지 △소가야권(고성·산청·진주·사천·거제·하동·남해·통영)은 가야 대외 교역과 해상 진출 교두보 △비화가야권(창녕·밀양)은 낙동강 변 가야·신라 문화 복합지대 △다라국(합천)은 황강과 살아 숨 쉬는 또 다른 가야 중심 등이다.

김형래 강동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는 '가야 유적의 복원·정비'를 주제로 발표한다. 김 교수는 '가야 유적 복원·정비 때 가장 기본은 원형 보존이기에, 자치단체별 관광 자원화를 위한 성급한 복원계획은 지양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할 예정이다. 한번 잘못한 복원은 되돌릴 수 없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이에 △개별 지자체 주도 단위 사업을 뛰어넘어 가야 문화권 전체 종합 계획 틀 속에서 진행 △지자체 영역을 넘어 국가 차원 지원이 필요하다는 견해다.

가야사 관련 제도를 뒷받침하는 '역사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은 마침내 6월 10일 자로 시행에 들어갔다. 홍보식 공주대학교 사학과 교수는 포럼에서 특별법 보완점을 언급할 예정이다. 홍 교수는 정비에만 치우쳐 조사·연구 관련 조항을 담지 못한 법률 한계를 지적한다. 조사·연구·인력양성 등을 법률에 명문화해야만 가야사 연구가 다양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날 포럼은 주제 발표에 이어 토론 자리를 마련한다. 이영식 인제대 명예교수가 좌장을 맡고 △김태영 경남연구원 연구기획조정실장 △김묘환 컬처마케팅그룹 대표 △이순자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박승규 가야문물연구원 상임이사 △강동진 경성대 도시공학과 교수가 토론자로 나선다.

도는 이날 포럼에서 나온 제안을 단기·중장기 과제로 분류해 이행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날 포럼은 경상남도 공식 유튜브 '갱남피셜'에서 생중계한다.

이진희 도 가야사정책담당 사무관은 "여러 분야의 다양한 시각이 모여 입체적인 정책 논의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