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군부 쿠데타에 반대하는 시민불복종운동이 석 달째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군경의 무자비한 학살로 시민 희생이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지금까지 사망자가 600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학교 안에 시신이 무더기로 쌓여 있다는 현지 주민 증언도 나왔으며, 심지어 미얀마 정보당국은 최근까지 총탄에 부상당한 시민들의 치료를 막기까지 했다. 그동안 아무런 입장도 발표하지 않았던 인접국 인도마저 최근 군부를 규탄하며 돌아섰을 정도이다.

군부 쿠데타에 저항하는 것은 시민들뿐만이 아니다. 지난해 총선에서 선출된 국회의원들로 이루어진 미얀마 연방의회 대표위원회(CRPH)는 군부 쿠데타 이후 망명정부 구실을 하고 있으며, 미얀마 군부가 만든 헌법을 개정하고 소수민족까지 포함한 연방정부 구성을 추진해 오고 있다. 이런 CRPH의 움직임은 쿠데타 정권이 민주주의를 질식시킨 미얀마의 대안으로서 다민족 국가인 미얀마 민주주의가 진일보할 수 있는 청사진일 수 있다. 그럼에도 미국과 중국의 첨예한 이해관계가 걸려있는 미얀마의 대외적 상황 때문에 국제사회 연대 움직임은 둔하다. 최근 유엔특사가 미얀마 입국을 요구했지만 군부는 거절했다.

이런 상황에서 미얀마 시민들에게 희망이 있다면 국제 시민사회의 연대이다. 일찍이 미얀마와 비슷한 민주주의 역사를 겪은 한국의 시민사회가 먼저 손길을 내밀었다. 창원의 김주열열사기념사업회는 11일 열린 김주열 열사 추모식에 미얀마 인권운동가를 초청하여 창원과 미얀마 시민들의 민주주의 역사를 공유했다. 또 오는 18일은 4·19를 앞두고 창원 지역 대학생들과 미얀마 대학생들이 연대 문화제를 치를 예정이다.

미얀마 시민들의 민주주의 열망을 응원하는 한국 시민들과 발맞추어 정부도 미얀마 군부를 압박할 수 있는 조처를 내놓기 바란다. 미얀마의 정치 상황에 맞추어 고용허가제 인력 쿼터를 연동하는 등의 조처를 고려해 볼 수도 있다.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도 불법적으로 권력을 찬탈한 쿠데타 정권의 시민 학살을 더는 관망해서는 안될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