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 기숙형 서당에서 터져 나온 학생 폭력 사건의 실체가 하나씩 밝혀지면서 지역사회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이런 기가 막힌 사건을 기회로 삼아서 지역사회에 교육이 무엇인가 하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져 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현재 하동의 초·중학교에 다니는 100여 명 학생들이 서당에서 장기체류 방식으로 집단 거주하고 있다고 한다. 단기체험 방식이 아니라 장기체류형의 교육이 이루어지다 보니 학생들 사이 갈등과 알력은 이미 예견되어 있었다. 기숙사 생활이 장기화하다 보니 어린 학생들의 싫증과 좌절감은 상상 이상으로 커졌고 이에 따른 학생들의 불만 표현 역시 강도가 더욱 높아지는 악순환에 빠졌기 때문이다.

또한 기숙사 생활을 하는 학생들 사이의 폭력 사건은 장기간 은폐되면서 피해가 누적되는 경향성이 많다. 피해 학생들에게 가해진 신체적 상해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충격은 어린 학생들의 정서 및 인격형성에 심대한 장애를 준다.

바로 이런 문제의 심각성으로 인해 초·중등학교에 다니는 어린 학생들의 인권은 절대적 보호를 원칙으로 한다. 아무리 말썽을 피우더라도 만 14세 미만인 촉법 소년에겐 국가마저도 처벌할 수 없다는 형법 원리가 적용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하동 서당 사건이 수면 위로 드러나면서 그동안 있어 왔던 각종 폭력 및 폭행 사건이 여론의 도마 위에 오르내리고 있다. 하지만 집단 린치에 가까운 폭행사건이 발생한 곳에서 지금도 생활해야 하는 학생들을 다시 가정으로 데려가려는 학부모가 극히 제한적이라는 사실이 더 큰 충격을 주고 있다. 물론 개별 학생마다 가족사가 다르기 때문에 함부로 단정하기는 어려운 게 사실이다. 개인들이 처한 상황과 조건의 문제로 인하여 어린 학생들을 기숙형 학교에 보낼 수밖에 없다고 한다면 이제 교육청이 나서서 대책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학교는 인격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놓인 어린 학생들에겐 지적인 기능 습득만이 아니라 인간 관계 형성을 배우는 특별한 장소이다. 경남도교육청이 기숙형 공립 초등학교를 적극적으로 고민해야 하는 이유도 학교가 하는 이런 특별한 역할 때문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