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우리 사회는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다. 우선 당면한 문제부터 미래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풀어야 할 숙제들도 있을 것이다. 그 중 인구가 줄어드는 문제와 지방 고사 문제는 국가 명운이 걸렸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정부와 지자체 등에서 여러 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눈에 띄게 좋아진 것이 보이지 않는다.

경남교육청에서 작은학교 살리기 공모학교로 세 곳을 설정한 것은 이런 문제를 풀기 위한 노력의 일환일 것이다. 더 늦기 전에 본래 취지대로 잘 되어서 선정된 고장뿐만 아니라 경남사회 전반에 활력소가 되었으면 한다.

이전에도 폐교 위기에 몰린 학교 살리기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농촌 인구가 급감하면서 수십 년 동안 수백 개 학교가 폐교되었으며, 이에 지역사회와 자치단체 등이 힘을 합쳐 학교 살리기를 해 일부 성공한 사례도 있다. 하지만 그런 경우는 하동 청암면 묵계초교처럼 일부 특수한 경우에 그쳤다. 보다 적극적인 인구 유입정책과 함께하지 않으면 학교 살리기 사업이 성공할 수 없다는 선례도 많다. 그런 점에서 이번에 경남교육청에서 하는 경남 작은학교 살리기 사업은 이전과 달리 성공할 수 있는 실마리가 보인다. 도교육청과 도가 통합행정 사업으로 추진하기 때문이다.

전국 초등학생 자녀를 둔 가족이 이주해 소멸 위기 마을과 작은학교 상생을 도모하는 것이 골자인데 지자체들이 구체적인 귀촌 정착지원책을 제시한 것과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참여하는 것이 눈에 띄는 부분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는 지역별 10호 내외 공공임대주택 건립을 주 내용으로 건립비의 80% 이상을 지원하고, 커뮤니티 공간과 교육·문화 프로그램 제공할 예정이다.

교육청 관계자는 "학교의 운명이 곧 마을의 운명이다. 학교와 마을의 상생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 유관 기관 및 주민의 관심과 지원이 절실하다"고 하였다.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는 말도 있다. 지역주민과 교육당국,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협심한다면 그만큼 희망도 커질 것이다. 최근 대학진학과 관련하여 충격적인 보도들이 이어지고 있다. 소위 벚꽃 피는 순서대로 대학마저 폐교될 것이라는데 그 결과는 지방 소멸일 것이다. 지방에 속한 모든 이들이 머리를 맞대야 할 때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