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해야 하는 일인데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다가 낭패가 닥치면 그것은 그 사회의 수준과 미래에 대해 어떤 희망도 갖지 못하게 한다. 논란이 가중되고 있는 남강댐 안정성 강화사업을 보면 우리 사회가 이성적인 판단을 할 수 있을지 걱정부터 하게 한다.

남강댐은 건설 이후 시설 보강과 확장 등으로 끊임없이 지역사회에 뜨거운 논란을 일으켰고 근년에는 부산으로 물을 끌어가는 문제로 시끄럽기도 했지만 지역민과 일을 만든 목적 모두를 수긍케 하는 결론에 도달한 적은 없는 듯하다. 이번 논란도 자칫 지역갈등만 조장하고 흐지부지될 수도 있는데 재난은 예고가 없다. 관련 지자체와 수자원공사, 주민 모두가 최선의 결론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고민해야 할 때이다.

남강댐 안정성 강화사업은, 수자원공사에 따르면 기후 변화 영향으로 강우량이 증가하고 있는데 남강댐의 현재 기능으로는 가능최대홍수량을 초과하는 사례가 여러 차례 계측되는 등 남강댐 주변 환경이 애초 설계 때와는 달라져 극한 홍수에 대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애초 2018년 입안되었고, 올해 중 착공할 계획으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현재 남강댐 높이를 1.9m 높여 최고 수위를 확보하고 남강 방면과 가화천 방면으로 수문을 늘려 최대방류량을 초당 7000t 늘린다는 게 핵심이다.

이 계획이 논란이 되는 이유는 남강 본류 쪽으로 지금보다 많은 양의 물을 보내면 하류 쪽 피해가 막심해진다는 것이고, 사천만 쪽으로 보내면 사천만이 민물화되는 등의 피해가 불을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진주시와 사천시가 서로 자기 쪽으로 물을 더 보내는데 극렬 반대하는 이유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남강댐 안정화 사업은 결론적으로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관계기관들은 좀 더 이성적이며 대승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주민피해 최소화와 신뢰 구축도 빠트릴 수 없다. 특히 당사자인 수자원공사가 감당해야 할 몫이 한둘이 아니다. 작년 수해 때만 해도 적절한 대응을 하지 않아 주민피해를 가중시키기도 했다. 이번 사업은 규모도 그렇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만으로도 결코 만만한 사업이 아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