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발전·석유제품 비중 큰 경남
액화천연가스·수소 현저히 작아
20년 내 신재생에너지 30% 보급
창원국가산단 친환경 기술 구축
주택·도로·항만 그린뉴딜 적용
모든 분야서 탄소 저감 제안도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에너지 전환은 필수 조건입니다. 고갈되는 화석연료와 위험성이 큰 핵에너지 대신 햇빛이나 바람과 같은 지속 가능한 재생에너지로 바꾸자는 겁니다. '4030'이라고 들어보셨나요? 제6차 경상남도 지역에너지계획(2020~2025)을 보면 장기 비전은 '지속 가능한 경남형 에너지 신산업 육성을 통한 4030 에너지 전환 달성'입니다. '4030'은 4.7%(2018년 기준)에 머무르는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40년까지 30%로 올리겠다는 뜻입니다. 더 나아가 50%까지 거론됩니다. 이 목표 달성을 위해 경남도는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세워야 하고, 에너지 전환과 관련한 지역사회 갈등 또한 중재해야 합니다. 경남의 에너지 전환 방향을 두 차례에 걸쳐 살펴봅니다.

◇화석연료 의존 벗어나자 = 경남지역 에너지 공급과 소비는 화석연료에 치우친 상태다. 한국에너지공단이 낸 <2020 에너지통계 핸드북>에서 경남의 에너지원별 공급 현황(2018년 기준)을 보면 석탄발전(64.07%)과 석유제품(20.78%) 비중이 크다. LNG(액화천연가스·10.15%), 신재생에너지(3.70%), 수력(1.30%)이 뒤를 잇는다.

아울러 에너지원별 소비는 석유제품(43.65%), 전력(33.10%), 천연가스(17.77%) 등 순서로 나타난다. 별도로 에너지 소비를 부문별로 살펴보면 산업 부문(39.27%)과 수송 부문(31.29%) 비중이 크다. 가정·상업(25.24%), 공공·기타(4.2%)가 뒤를 잇는다.

▲ 경남창원스마트산단사업단 출범식이 지난 2019년 3월 21일 창원시 의창구 팔룡동 스마트업파크 내 창원스마트혁신지원센터 1층에서 열렸다. /경남도민일보 DB
▲ 경남창원스마트산단사업단 출범식이 지난 2019년 3월 21일 창원시 의창구 팔룡동 스마트업파크 내 창원스마트혁신지원센터 1층에서 열렸다. /경남도민일보 DB

이 같은 상황을 두고 경남연구원 남종석 연구위원은 "경남은 에너지 다소비형 산업 구조인데, 재생에너지 비중이 현저히 작다는 현실은 에너지 체제에 대한 무관심을 반영한다"고 꼬집었다.

재생에너지 역시 한쪽으로 쏠린 모습이다.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을 뜯어보면 바이오(42.2%)와 폐기물(28.3%)의 비중이 큰 편이다. 태양광(19.6%)은 그간 비중이 많이 높아져 왔지만, 아직 다른 재생에너지원에 못 미치고 있다. 풍력은 2.2%에 불과하다. 재생에너지는 햇빛·바람·물·지열·강수·생물유기체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 태양광·풍력·수력·해양·바이오·폐기물 등을 말한다. 신에너지는 화석연료를 변환해 이용하거나 수소와 산소 등 화학반응에 따라 전기 또는 열을 이용하는 것으로 연료전지·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 등이 해당한다.

◇스마트그린산단 등으로 활로 모색 = 화석연료 중심 경제·산업 구조에서 벗어나 탈탄소화로 대전환하는 혁신 정책은 '그린뉴딜'이라는 이름을 달고 있다. 경남형 에너지 전환과 그린뉴딜은 앞서 그 방향이 제시된 바 있다. 

경남도는 지난해 세계 환경의 날(6월 5일) 에너지 전환과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한 기후위기 비상선언을 했다. 당시 김경수 지사는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새 판을 짜야 한다"며 △재생에너지 확대 △스마트그린산단으로 에너지 다소비형 산업구조 개편 △도로·항만 저탄소 구조와 에너지절약형 주택 △새로운 일자리 창출 등을 설명했다. 구체적인 사례로는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과정에 걸쳐 진행하는 창원 수소사회 선도, 산업단지 공장 지붕 등을 활용하는 협동조합형 태양광발전, 어민과 상생하는 통영 해상풍력 실증단지 등을 언급했다.

'스마트그린산단'은 경남이 선점한 핵심 정책 가운데 하나다. 기존 7개 스마트산단(창원, 반월·시화, 구미, 인천 남동, 광주, 여수, 대구 성서)에 정보통신기술(ICT)과 함께 온실가스 감축·에너지 이용 효율화 등 친환경 녹색 기술을 입히는 개념이다.

남 연구위원은 지난해 6월 '그린뉴딜기본법 무엇을 담을 것인가? - 지방정부의 그린뉴딜 추진방안과 지방정부의 역할' 토론회에서 창원국가산업단지 남는 땅(유휴부지) 등을 활용해 스마트그린산단 실증모델을 구축하고, 그렇게 쌓은 경험을 국가 전체로 확산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특히 2040년 경남 경제의 밑그림은 경남에너지자원공사·태양광 농사·친환경 공공시설·저탄소 교통·그린홈타운·RE100(Renewable Energy 100%·기업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소비하는 에너지를 100% 재생에너지로 사용하는 운동) 산단·친환경 선박·RE100 아일랜드 등이 연계된 모습이다. 이는 발전, 산업, 수송체계, 건축 등 시민의 삶과 관련한 거의 모든 분야에서 탄소 저감 이행 방안을 추진한다는 이야기다.

남 연구위원은 단기 목표로 △그린산단 실증 플랫폼과 에너지 발전·소비 실시간 제어 시스템 구축 △공장 지붕형 태양광 발전시설 50곳 △1.5㎿급 연료전지 발전소 △V2G(충전식 친환경차를 전력망과 연결해 주차 중 남은 전력을 이용하는 개념) 적용 등을 언급했다.

또 장기 계획으로는 △에너지 체제(태양광 농사·산단 태양광 발전·재생에너지원을 설치한 주택 '그린홈') △교통체계 혁신(버스·전철·고속철 등 대중교통 저탄소·전기화) △산업(풍력발전·RE100 산단 실현) 등 분야별 실행 방안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2040년 경남지역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을 50%까지 높이는 청사진도 담았다. 이는 경남도를 비롯한 자치단체에서 세밀한 사업 계획이 나와야 실현 가능한 목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